물론 현재 우리나라가 자체적으로 화성까지 도달할 탐사선이나 로켓을 개발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한국이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 분야를 바탕으로 화성에서의 우주농업, 생존기술, 관측기기 개발 등 실질적인 역할을 고민하겠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독자적인 탐사 프로그램의 조기 가동을 추진하는 한편, 미국과의 기술 협력과 국제적 공조 방안도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
윤 청장은 “최근 화성 탐사를 위한 전담 TF를 구성했다”며 “우리만의 화성 탐사 스토리를 먼저 설계하고, 이후 미국이 추진 중인 화성 탐사 프로그램과의 협력 가능성도 함께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언급은 정부가 기존에 발표한 ‘미래우주경제 로드맵’ 상의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탐사 추진 계획과는 방향과 속도 면에서 다소 온도차를 보이는 발언이다.
윤 청장은 “미국이 주도하는 화성 탐사가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나라도 기존 달탐사 계획은 병행해야 하지만 달 이후 논의하려고 했던 화성 탐사(화성 궤도선 2035년, 2045년 화성 착륙선)계획을 앞당길 정책 논의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달보다 화성 탐사에 더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우주정책의 흐름을 전환하고 있다.
한편,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진영 내 핵심 우주정책 인사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만큼, 미국의 화성 탐사 추진은 오히려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는 자사의 초대형 민간 로켓인 ‘스타십(Starship)’을 통해 무인 화성 탐사 임무의 검증을 계속 진행 중이다. 이는 무인 탐사 단계를 넘어 인류의 화성 유인 탐사 시대로의 전환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미국은 현재 달을 중간 기착지로 삼아 화성으로 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체 탐사 일정을 앞당길 수 있다는 내부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며 “스페이스X 측에서도 내년 또는 내후년 화성으로 향하는 로켓에 한국의 탑재체를 실을 의향이 있는지 우주항공청에 문의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이 달 탐사 예산을 줄이는 한편, 화성 탐사에 집중하는 현 상황은 한국에 오히려 전략적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윤 청장은 우주항공청의 예산 확대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올해 예산이 전년 대비 27% 증가한 9649억원에 달하지만, 일본은 우리의 5배, 미국은 30배 수준”이라며 “내년 예산은 최소 1조 3000억원, 궁극적으로는 3조원 규모까지 확대돼야 국제무대에서 기술적·정책적 승부수를 던질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