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경기 고양시의 한 주유소. 업주 A씨는 최근 요소수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A씨는 “주변 주유소도 요소수를 구하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라며 “요소수를 구하려 주유소 10곳을 다닌 손님도 있었다”고 말했다. 요소수는 경유(디젤)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줄이는 데 쓰이는 수용액이다.
|
경유차를 운행하는 데 필요한 요소수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요소수 핵심 원료인 요소를 주로 들여오는 중국이 수출화물표지(CIQ) 의무화 제도를 시행하며 중국으로부터의 요소 수입이 어려워졌다. 최근 석탄 가격이 급등하면서 석탄으로 만들어지는 요소 가격이 덩달아 상승한 데다 중국 내 전력난으로 요소 공장 가동률까지 하락하면서 재고가 줄자 중국 정부가 자국 시장을 안정시키려 사실상 수출 제한 카드를 꺼내들었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 요소 수출 가격은 연초만 해도 t당 300달러 수준이었지만 지난 21일 기준 740달러까지 치솟았다. 실제 시장 가격은 900~1000달러 수준에서 형성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초 대비 3배 이상 뛴 셈이다.
요소수는 경유차가 배출하는 질소산화물(NOx)을 줄이는 ‘선택적 환원촉매 장치’(SCR)에 쓰이는 촉매다. SCR은 차량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에 요소수를 분사해 질소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환원한다. 유럽의 배출가스 규제 기준인 ‘유로6’ 도입 이후 SCR을 적용한 경유차가 늘면서 요소수는 디젤차의 필수 소모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더욱이 경유차가 대부분인 화물차가 더 큰 비상 상황에 빠졌다. 요소수 없이 배출가스 기준을 맞출 수 없다. 일부 차량은 요소수가 부족하면 SCR 내 분사 장치가 고장 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는 등 운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비축한 재고가 적고 수급 협상력이 약한 중소 업체를 중심으로 요소수 가격 인상이 도미노처럼 번져간다”며 “이달 중순부터 10ℓ 제품을 1000~1500원 인상하고 출고 수량을 제한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전했다.
‘요소수 사재기’도 발생…“다른 공급처 찾아야”
서울 은평구에서 주유소를 운영하는 B씨는 “요소수 재고가 있긴 하지만, 지금 당장 필요하신 분에게만 판매한다”며 “사재기를 방지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평소 1만~1만3000원 선에서 거래되던 10ℓ 요소수 한 통의 가격도 최대 2만원까지 올랐다. 일부 주유소에선 기존 거래처나 주유를 한 고객에게만 요소수를 판매한다는 조건을 내걸기도 했다.
온라인에서도 품귀에 따른 혼란은 이어지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1만원 안팎에 팔리던 10ℓ 요소수는 대부분 동난 상태로, 재고가 남은 상품의 가격은 5만~10만원까지 올랐다. 며칠 전에 받은 요소수 주문을 일방적으로 취소하는 일부 온라인 판매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요소수 품귀 현상으로 운행에 차질을 빚는 디젤차 중에선 중대형 화물차들이 많아 자칫 물류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중국이 아닌 다른 공급처를 찾으면서 요소수 수급이 정상화할 때까지 디젤차에 한해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해주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