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장관은 당초 뮌헨안보회의 참석 전 워싱턴을 방문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성사가 쉽지 않은 분위기다. 외교부 당국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조 장관의 방미 가능성에 대해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현 단계에서 말씀드릴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 다음 주 초께 조 장관의 방미가 예상됐지만, 루비오 장관과의 일정 조율이 난항을 겪으면서 가능성이 낮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루비오 장관은 내주 미-인도, 미-요르단 정상회담을 수행해야하는 상황이다.
앞서 워싱턴포스트 등 외신은 뮌헨안보회의에 J.D. 밴스 부통령가 미국 대표로 참석한다고 보도했지만 루비오 장관도 동행할 가능성이 있다. 작년 회의 때도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과 토니 블링컨 전 국무장관이 함께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탄핵정국으로 정상외교가 사실상 어려워 외교장관이 그 공백을 메워야 하는 상황이라 한미외교장관 회담 시기나 성사 여부는 더욱 주목받았다.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 이어 7일(현지시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만난다. 이달에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등도 다음 주 중 만날 예정이다.
이 가운데 대통령실은 전날 신원식 실장이 왈츠 보좌관과 통화 후 이른 시일 내 미국에서 만나기로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외교안보 고위급에서의 첫 대면 접촉이 외교부 장관이 아닌 국가안보실장이 될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