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한국소비자원이 실내 공영주차장에 있는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을 조사한 결과 소방대원이 화재를 진압하고 민간인이 대피하는데 부적합한 위치에 설치돼 있거나, 주차면끼리 서로 인접해 화재가 확산할 우려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충전설비 설치 위치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주차장 30개소 중 19개소(63.3%)가 지하층에 충전시설을 설치했다. 이중 6개소(20%)는 지하 3층 이하에 설치해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어려울 수 있었다.
직통계단(피난계단) 주변에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설치 행태를 조사한 결과에선 30개소 중 10개소(33.3%)가 직통계단과 인접한 위치에 전용주차구역이 설치돼 있었다. 직통계단에 인접한 위치에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와 열이 계단으로 빠르게 확산해 화재진압과 대피가 어려워질 수 있다.
질식소화포 등 전기차 화재진압 설비도 미흡했다. 주차장 30개소 중 절반인 15개소(50.0%)에서만 질식소화포가 비치돼 있었다.
소비자원은 주차장 관리주체에 전기차 전용주차구역과 충전시설에 소화설비를 설치하고 충전시설 관리를 강화하는 등 조치를 권고했다. 관계부처에는 전기차 전용 주차구역 안전 기준을 마련할 것을 건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