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차예지 기자] 아베 신조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6일 오후 도쿄 모토아카사카 영빈관에서 시작됐다. 이번 회담의 의제는 핵 · 미사일 개발을 추진 북한과 미일 통상 문제다.
“미·일 무역, 공정하지 않다”…일본에 ‘돌직구’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의 극진한 환대에도 불구하고 이날 미·일 무역이 공정하지 않다고 말하며, 일본에 돌직구를 날렸다.
트럼프는 이날 오전 주일 미국대사관에서 열린 미·일 경영자 대상 간담회에서 “미일 무역은 공정하지도 개방되지도 않았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트럼프는 “미국은 오랜 기간에 걸쳐 일본에 의한 무역 적자로 고생해왔다”며 무역 불균형 문제에 대한 미일간 협상을 본격화하겠다는 뜻을 확실히 했다.
일본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미국의 복귀를 요구하고있다. 그러나 그는 일본의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나 도요타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일본 자동차업계의 미국 시장 장악에 대해서도 불만의 목소리를 이어나갔다.
정상회담 후 트럼프, 납북 피해자 가족 만나
양국 정상은 정상 회담에 앞서 이날 낮 영빈관에서 워킹런치(일하면서 먹는 점심)를 함께했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미일 동맹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및 세계의 평화와 안정의 초석인만큼 더욱 공고히 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의제에 대해 ”북한, 무역 문제, 군사적 과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 있다”며 “미일관계가 더욱 좋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일본이 미국산 방어 장비를 구입하는 것에 대한 감사도 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마친 뒤에는 1977년 북한에 납치된 요코타 메구미의 부모와도 만날 계획이다.
정상회담 최대 초점은 ‘북한에 대한 대응’
정상회담의 최대의 초점은 핵 실험과 탄도 미사일 발사를 반복하는 북한에 대한 대응이다. 아베 총리는 북한에 대한 일본의 독자적인 제재로 미국이 실시를 결정한 자산 동결 대상의 확대를 실시한다고 말할 방침이다.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와 트럼프 정부가 검토하는 북한의 ‘테러 지원국’ 재지정 여부도 논의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외에 아시아에서 인도양을 거쳐 아프리카에 이르는 지역의 안정과 성장을 목표로 하는 ‘자유롭게 열린 인도·태평양 전략 ‘의 추진도 논의한다. 미일이 호주, 인도와 함께 남중국해와 인도양 진출을 서두르는 중국을 견제하는 목적이 있다.
두 정상은 회담을 마친 후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미일 공조를 통한 대북 압력 강화 등의 합의 내용을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