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랩(053800)이 11일 공개한 두 가지 피싱 메일 사례에서 공격자는 사용자가 피싱 사이트에 계정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계정 탈취를 시도했다.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는 첨부파일·인터넷주소(URL)를 메일에 삽입하고, 정상 웹사이트와 구분이 어려운 정교한 피싱 페이지를 제작하는 등 고도화된 수법을 활용했다는 설명이다.
첫번째 사례 속 공격자는 기업 인사 부서를 사칭해 ‘2025년 6월부터 적용되는 급여 변동 사항을 확인’하라는 내용을 담은 메일을 유포했다. 메일 본문에는 ‘급여 변동 사항을 PDF 파일, 온라인 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문구와 함께 파일(.html)을 첨부해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했다.
첨부파일을 누르면 사용자가 소속된 기업의 공식 홈페이지와 유사하게 제작된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된다. 해당 페이지에는 메일을 받은 사용자의 아이디가 자동으로 입력돼 있다.
두번째 사례에서 공격자는 ‘귀하의 사서함에 배달되지 않은 이메일 메시지 5개가 있다’는 내용으로 피싱 메일을 발송했다. 공격자는 ‘전달되지 않은 메시지는 여기에서 확인하세요’라는 문구에 URL을 삽입해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했다.
|
피싱 메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 속 첨부파일과 URL 실행 금지 △URL 접속 시 기업·서비스의 공식 사이트 주소와 비교 △개인 컴퓨터(PC)·운영체제(OS)·소프트웨어·인터넷 브라우저 등에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백신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계정별 다른 비밀번호 설정 등 기본 보안 수칙을 지켜야 한다.
이번 사례를 분석한 안랩 시큐리티 인텔리전스 센터(ASEC) 분석팀 이익규 연구원은 “정교한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사용한 계정 탈취 시도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피싱 유형을 숙지하고 기본 보안 수칙을 준수하는 것만으로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랩은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안랩 TIP’에서 이번 사례를 포함한 피싱 공격 동향과 보안 권고문, 침해지표(IoC) 등을 제공 중이다. 안랩 백신(V3) 제품군과 샌드박스 기반 지능형 위협 (APT) 대응 솔루션(MDS)은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는 URL에 대한 실행 차단 기능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