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감기와 다르다. 독감의 원인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B,C형 세가지가 존재하나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것은 A,B형이다. 독감은 상부 호흡기계인 코와 목이나 하부 호흡기계(폐)를 침범하며 주로 고열, 두통, 근육통과 같이 일상생활이 불가한 신체 증상을 동반한다. 독감은 전염성이 강하며 노인과 소아,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라면 사망률이 증가하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독감은 일반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통해 회복되지만 일부 경우에는 폐렴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상기도 감염과 염증이 하기도까지 확산되는 것이다. 폐렴이 발생하면 전신쇠약, 호흡곤란, 기침과 가래 등의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심한 경우 패혈증이 합병증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독감으로 인해 혈액이 응고하거나 혈전이 형성되는 상태를 말하며 심장과 폐, 뇌 등의 중요한 장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패혈증 증상으로는 심각한 호흡곤란과 혈압저하, 피부의 색 변화, 두통, 현기증 등이 있다.
독감의 합병증인 폐렴은 소아나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노인 등에서 특히 위험하며, 폐렴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인플루엔자 백신의 우선 접종 대상은 50대 이상 성인, 만성 폐질환, 심장 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 당뇨병과 같은 면역 기능 저하 환자 등이 있다. 특히 최근 유행하고 있는 독감은 젊은 사람에게도 많이 발생해 누구든지 예방 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독감은 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 안정을 취해야 한다.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큰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오셀타미비르, 자나미비르 등 항바이러스제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항생제를 같이 사용한다. 고위험군이 아니더라도 합병증이 생겼거나 심한 증상이 있으면 조기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한다.
홍진헌 과장은 “독감은 저절로 회복되는 감기와는 다르다.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전염성 질환이며, 폐렴으로 인한 패혈증이 발생한 경우 치료가 늦어진다면 위험할 수 있다”며 “평소 마스크와 손 씻기, 기침 예절 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고 접종을 안 했다면 지금이라도 백신 접종을 하여 독감 유행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