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의원은 같은 날 열린 기자회견 질의응답에서 특위 위원장 사퇴 이유에 대해 “(모수개혁안은)개악”이라며 “특위가 만든 안이 하나도 반영이 안 된 상태에서 청년세대에 부담 주는 개악을 한 것에 대해 위원장으로서 책임지고 사퇴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위원들은 (여야 합의가 된) 그날 아침까지도 반대했다”며 “지도부에서 야당 측 지도부와 우원식 국회의장과 합의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즉, 청년세대가 많이 내고 적게 받기 때문에 부담을 적게 하도록 하는 안이었다”며 “재정안정장치는 당연히 포함돼 있었다”강조했다.
박 의원은 “의료개혁을 포함한 4대 개혁까지 포함했었다”며 “그게 청년세대도 지지하는 가장 합리적인 안이나, 전부 무시하고 지도부가 합의해 통과된 것에 대해 원통하고 분노하고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기권한 분들도 사실 반대로 볼 수 있다”며 “내용상 정의롭지 않다고 많은 의원이 생각했다는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국회차원 연금개혁 특위에 참여를 안 하는지를 묻자 “이런 식으로 의사결정이 되면 국회 연금특위는 아무 의미가 없다”며 “특위에서 실컷 논의해봐야 당 지도부 양쪽에서 내용도 모르고 합의해버리면 무슨 의미가 있겠나. 맹탕 특위가 될 가능성이 99%다”라고 내다봤다.
박 의원은 여당 지도부가 젊은 의원들 위주로 국회 특위를 구성하겠다고 한 것을 두고 “연금 특위에 양당 지도부가 관여하지 않고 전권을 주면서 특위 위원들을 2030 젊은 위원들로 구성해야 한다”며 “본인들이 부담해야 할 분들로 여야가 모이면 어느 정도 합의할 수 있고, 그 합의에 전권을 줘야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