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이재명 정부가 국정을 홍보하고 대민 소통 창구로 활용할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임시개통했다고 19일 밝혔다. 당초 취임 직후 윤석열 정부의 홈페이지를 새단장해 활용할 계획이었으나, 홈페이지의 일부 소스 코드 등이 삭제된 상태여서 사용에 차질을 빚었다.
 | 임시 개통된 이재명 정부의 홈페이지 화면(사진=홈페이지 캡처) |
|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한시적 사용하는 형태로 임시 개통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홈페이지에는 이 대통령과 관련한 ‘수해 점검 대비’, ‘불공정거래 근절을 위한 현장 간담회’, ‘연천 군부대 장병 격려’, ‘G7정상회의 참석’ 등의 내용이 게재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임시 개통과정이 쉽지 않았다”면서 “앞으로 기능들을 추가해 갈 예정”이라고 했다.
임시 개통된 홈페이지는 국정 브리핑을 볼 수 있는 기능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추가될 예정이다. 이번에 개통된 홈페이지 방향성으로는 국민 소통 창구로서 역할이 강화된 디지털 플랫폼을 표방한다는 게 대통령실 측의 설명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과 이 정부의 국정철학을 반영한 홈페이지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다”라면서 “디지털 기반 미래 국가 그리고 실용과 국민주권을 실현하고자 하는 소통 창구 로서의 디지털 플랫폼을 만들고자 하는 개편 방향으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시 홈페이지의 개통과 관련 소요된 예산은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존에 계약돼 있는 유지보수 관리 업체의 도움을 받아 리뉴얼을 했다”면서 “특별하게 예산이 들어가지는 않는다”고 했다.
과거 정부의 국민 청원 기능 등을 보완한 형태의 기능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존의 정부가 했던 것을 연구하고 있다”면서 “과거에서 정부의 여러 국민 청원을 보완해서 조금 더 업그레이드 된 버전으로 국민 주권을 직접 실현할 수 있을 것을 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금 현재 청원과 관련돼 국회의 청원이 있고 또 행정부의 청원이 있는데 이게 또 민원과 다른 점이 무엇인지 고민을 하고 있다”면서 “해외에 여러 청원 시스템이 있어서 미국의 청원시스템, 영국의 청원 시스템 이런 것을 다 두루 살펴보고 있다”고 했다.
정식 홈페이지 발표까지는 3~4개월 이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통령실이 홈페이지 임시 개통에 나선 것은 이 전 정부가 사용하던 홈페이지의 기존 데이터 및 일부 소스 코드가 삭제됐기 때문이다. 앞서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은 국민이 주인인 정부, 국민과 함께하는 국정을 실현하기 위해 새로운 디지털 소통 플랫폼을 준비 중이다. 곧 국민 여러분께 정식으로 인사드릴 예정이다’는 문구만이 게재돼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