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인사이트가 25일 발간한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에 따르면 최근 한국인 해외여행자 3명 중 1명은 일본을 방문했다. 지난해부터 올해 5월까지 한국인 해외여행객의 일본 방문 비중은 약 34%로 2023년의 32%보다 소폭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 2019년(24%)과 비교하면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일본 선택의 이유 1위는 ‘여행기간·이동거리의 적당함’(35%)이 꼽혔다. 그러나 일본 방문의 주요 동기였던 ‘여행비용·물가’라는 이점은 올해 들어 급격히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이유를 든 응답자는 2023년 최고 24%에 달했으나, 2025년에는 17%로 감소했다. 이는 엔화 강세와 일본 내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
이 같은 변화는 엔화 강세와 일본 내 물가 상승뿐만 아니라, 주요 관광지의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국내 경기 악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일본 여행의 매력이 약화되는 사이, 중국이 새로운 수혜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2023년 3%에 불과했던 중국 여행 비중은 비자 면제 조치 시행(2023년 11월 30일) 이후 7%로 급등했다. 베트남(14%), 태국(6%), 대만(5%), 필리핀(4%) 등 주요 아시아 국가들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유지해 여전히 선호도가 높았다.
해당 보고서 전문은 컨슈머인사이트 홈페이지와 문화빅데이터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