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사 결과 2494가구의 영유아 수는 3007명으로 가구당 평균 약 1.2명으로 집계됐다. 가구별 양육비는 월평균 111만6000원으로 2021년에 비해 14만원 상승했다. 다만 소득 대비 비중은 17.8%로 직전 조사(2021년 19.3%)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총 양육비 111.6만원
학부모가 자녀를 어린이집·유치원에 보낼 경우 부담해야 할 비용은 월평균 14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어린이집 보호자 부담액은 월평균 7만원, 유치원은 17만7000원이다. 미술·음악·체육 등 특별활동비와 현장학습비가 보호자 부담액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유치원은 수업료를 받을 수 있어 어린이집보다 부담액이 크다.
다음으로는 ‘육아 휴직제도 정착 및 휴직 시 소득보장’(20.2%)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보육 기관에 아이를 오래 맡겨두기보단 직접 돌보고 싶은 부모가 적지 않은 것이다. 최 연구위원은 “육아휴직 또는 휴직 시 소득이 보장된다면 보육기관의 연장 돌봄 없이 아이를 직접 돌보고 싶은 학부모가 많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
영유아가 최초로 이용한 기관은 어린이집이 97.3%로 우세했으며, 유치원은 1.9%였다. 생애 최초로 보육·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시기는 19.8개월로 2009년 30개월에서 지속적으로 앞당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이용자는 ‘집과의 거리’(32.8%), ‘어린이집의 주변 평판’(12.2%)을 기관 선택 기준으로 꼽았다. 유치원 이용자는 ‘프로그램’ 26.8%, ‘집과의 거리’ 23.8%, ‘주변 평판’ 13.1% 순이다.
보육기관의 연장 보육을 이용하는 비율은 33.7%이며, 기본보육만 이용하는 비율은 66.3%였다. 연장 보육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필요 없다’는 응답이 73.8%, ‘장시간 보육이 발달에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21.7%였다. 조사 대상 3058개 어린이집은 평일 12시간 정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94.2%가 연장 보육 반을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강민규 교육부 영유아정책국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호자의 양육 부담을 완화하고 일·가정 양립을 실현할 수 있도록 시간제 보육 활성화 방안, 연장 보육 확대 지원방안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