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김 부회장은 기업회생신청은 홈플러스 부도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기업회생신청은 지난달 25일 갑작스런 신용등급 하락에 의한 단기 유동성 악화로 인한 부도를 피하기 위한 결정이었다“며 ”홈플러스의 정상화를 위해 최대한 협력 중“이라고 말했다.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하면서 임명한 경영진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모두 전문적인 경영진“이라며 ”홈플러스는 지난 1년간 다른 국내 경쟁 마트 대비 성장세가 높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능력이나 전략에 대해서 모두 훌륭한 분들“이라고 두둔했다.
김 부회장은 ”세일앤리스백은 현재 홈플러스 이외에도 많은 유통회사가 하고 있는 방식“이라며 ”차입금을 세일앤리스백으로 바꾸면 장기 차입금화가 되기 때문에 나쁜 방식이 아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세일앤리스백 때문에 회사가 어려진 것은 아니다“고 부인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상거래부터 금융까지 모든 채권자들이 변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며 ”이것 외에는 별도로 계략을 짜거나 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답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사재를 출연 등 별도의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했다. 김 부회장은 ”이 기자간담회는 홈플러스에 대한 경영 정상화를 논하는 자리“라며 ”가능하면 MBK가 아닌 홈플러스 관련 질문을 부탁드린다“고 말을 아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