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청문회 첫날의 소회’를 질문받고 “정책과 신상에 대한 질문이 있어 최대한도로 설명드렸는데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 한편으로는 죄송하고 한편으로는 난감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발언 기회를 얻은 김 후보자는 야당이 제기한 의혹들에 다시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야당 의원이 수상한 자금이라고 하는 건 저에 대한 표적 사정에서 시작된다”며 “이 문제를 정리하기 위해서 당시 돈을 제공했던 기업, 검찰의 검사까지도 증언할 수 있게 증인으로 불러주셨으면 했는데 안타깝게도 채택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지난 20년 간의 각종 수입은 모두 표적 사정에서 시작된 추징 그리고 추징과 연관된 중가산 증여세, 이를 갚기 위한 사적 채무 세 가지를 갚는 데 쓰여졌다”며 “세비와 세비 외 수입으로 추징금을 갚았고, 사적 채무를 일으켜서 증여세를 정리했고, 마지막 사적 채무를 다시 대출을 통해서 갚았다”고 주장했다.
출판기념회 관련 자료요구를 압박하는 야당을 향해선 “한편으로는 정치 신인들, 정치 전체에 대한 저의 책임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야당 의원들, 야당 대표들도 출판기념회를 했고 이를 전혀 재산신고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는 상황에서 제가 임의로 출판기념회 비용을 다 공개하는 것이 과연 적당한가 하는 원칙의 문제를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무한 입증을 요구받는 부분엔 무한 입증을 하겠으나 적어도 소명된 부분엔 인정이 필요하고, 명백하게 의도를 가지고 (사실이) 아닌 프레임을 가진다면 죄송하게도 ‘조작질’이라는 표현밖에 쓸 수가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