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후보자는 19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북한 핵 문제, 글로벌 보호주의 확대, 미·중 전략 경쟁 등 안보 경제 복합 위기 속에서 핵심 정보 지원 조직인 국정원의 역할과 책임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국정원장으로서 봉사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먼저 흔들림 없는 굳건한 평화 구축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평화는 강력한 국방력과 그에 바탕을 둔 대화·협상의 두 개의 바퀴가 선순환하며 증진된다고 생각한다”며 “우방국 정보기관과 긴밀히 공조하여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군사 도발 대비에 총력을 다하는 한편 지금까지 이어져 온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적대적인 남북 관계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30년 넘게 북한을 연구한 학자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이 때문에 이 후보자가 국정원장이 되면 대북 정책을 총괄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이 후보자는 자신이 자주파(한미관계에서 자주를 강조하는 견해)라는 지적에 “자주파도 동맹파도 아닌 실익에 따라왔다”고 거리를 뒀다. 그는 “오늘날 세계는 어쨌든 간에 협력해야 되고 그런 점에서 한미 동맹이 가장 기본적인 바탕”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국정원장의 가장 중요한 과제를 묻는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국정원 직원들 하나하나가 자부심을 가지고 ‘전문성에 기초해서 근무하면 나는 평생 이 직장에서 영예롭게 근무할 수 있다’ 이런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정보위원인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 후보자를 향해 ‘친북적’이라며 “이런 분이 국정원을 이끄는 수장이 되었을 때 우리 국가정보원이 과연 대한민국을 지키는 기관으로 기능을 할지 아니면 북한의 대남 연락사무소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 전락할지 걱정하게 된다”고 공격했다.
국정원장은 인사청문회를 거치긴 하지만 국회 임명 동의 없이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