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지는 오패산 자락에 면한 제1종주거지역으로 타 지역에 비해 토지 등 소유자가 많아 그간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런 사이 노후가 진행돼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노후주택이 밀집해 있고 최대 60m 이상(최고 114m, 최저 46m) 높이차로 인한 보행 불편으로 주민 대부분이 마을버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급경사에 협소한 도로로 인해 교통사고 위험도 높다.
이번 기획에는 △유연한 도시계획 및 다각도 사업실현 방안 적용 △미아-번동 지역 연계를 위한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 정비 △경사지형을 고려한 대지조성 및 보행 동선계획 △배후산 등 주변과 조화롭고 지역으로 열린 경관 창출을 담았다.
사업성 부족으로 개발에서 소외됐던 대상지 여건을 적극 고려해 다각도의 사업실현 방안을 적용했다. 용도지역 상향(제1종→제2종주거) 및 유연한 높이계획 등 지역 맞춤형 도시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2030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사업성 보정계수 및 현황용적률 인정 등 사업 지원방안도 적극 도입했다. 미아동258은 최고 25층, 번동148은 최고 29층을 적용해 총 7500가구를 확보했다.
두 대상지에는 사업성 보정계수 최대치(2)를 적용했다. 특히 번동 148의 경우 현재 용도지역(1종주거) 대비 과밀한 지역 여건을 고려, 현황용적률을 기준용적률로 인정해 향후 정비계획 추진 시 상당한 사업성 향상이 예상된다.
이번 ‘미아동 258 및 번동 148 일대 재개발’ 기획 확정으로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대상지 149개소 중 91개소(16만호)가 기획을 완료했다. 91개소 중 현재 △정비구역 지정 32개소 △사업시행계획인가 4개소 △착공 2개소 등 주거환경 정비 및 안정적 주택공급을 위한 신속통합기획과 후속 절차는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편리한 교통과 보행, 녹지가 연계된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해 수준 높은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향후 절차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