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정 시 5년간 최대 1000억원을 지원받는다는 점에서 학령인구 감소 등 어려움을 겪는 비수도권 대학 입장에서는 글로컬대 진입이 생존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대전은 타 지역과 달리 아직까지 주관 대학 기준 글로컬대 지정 사례가 없어 충남대는 올해가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
예비지정 신청서(혁신기획서) 제출 시한이 한달 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글로컬대 합류를 노리는 지역 대학들의 긴장감도 점차 고조되는 분위기다. 이에 앞서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각각 10개씩 모두 20개의 글로컬대가 지정됐다. 지정 현황을 보면 초광역(대구보건대·광주보건대·대전보건대)을 제외하고 경북 4개, 경남 3개, 부산 2개, 전북 2개, 전남 2개, 강원 2개, 대구 1개, 충북 1개, 충남 1개, 울산 1개 등이다.
그 결과, 총대상 인원 2만 959명 중 1879명이 참여해 교수의 70%, 직원·조교의 71%, 학부·대학원생 15%가 통합기반 사업 추진을 희망했다. 학생들의 경우 통합기반은 학부생 9%·대학원생 47%, 단독추진은 학부생 68%·대학원생 35%, 미추진은 학부생 19%·대학원생 11%로 나타났다. 국립공주대는 교수의 93.8%, 직원·조교의 86.8%, 학생의 45.2%가 통합기반 혁신기획서 제출에 동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부는 각 대학별 자료를 검토한 뒤 오는 4월 예비지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충남대와 국립공주대 총장은 “대전과 충남의 광역경제권 행정통합을 기반으로 지방대학의 새로운 성공모델 창출을 위해 더욱 협력하고 지혜를 함께 모아가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충남대는 국립한밭대와 글로컬 대학 30 사업에 도전했지만 통합을 둘러싼 진통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해 교육부 최종 선정에서 탈락했다. 이에 지난해 12월 국립공주대와 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