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협은 매년 고수온으로 인해 연근해 어업은 물론 양식업 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만큼, 종합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노 회장은 “수산업 자체의 체질 개선이 필요한 것은 물론, 구체적인 어업인 종합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자체 연구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업인의 생계는 물론, 국민들의 먹거리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가 마무리되는대로 실제 대책 마련과 제도화, 예산 편성까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를 설득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경영 상태가 악화된 회원 조합에게는 내년 2030억원의 무이자 자금을 포함, 총 25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한다는 목표다. 이는 올해 지원규모보다 7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지난해(1000억원)와 비교하면 2.5배 늘어난 것이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부실 채권에 일정 할인율을 적용해 사들임으로서 전반적인 부담을 낮추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수산물 수출과 소비 등 다변화를 위해 해외로 판로를 넓히고, 군 대상 급식 공급망도 늘린다. 혼재 수협은 해외 8개국, 11곳에 무역지원센터를 운영중이지만 현재 중화권에만 4곳이 편중돼 있어 이를 다변화하고, 국가별로 세부 전략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수협은 최근 군 급식 정책을 설계하는 육군본부와 수산물 소비촉진 업무협약을 맺었다는 점도 소개했다. 노 회장은 “푸드트럭이나 조리사 초빙 등을 통해 지역상생장병특식 사업에 처음 수협이 참여해 활어회나 회초밥을 부대에 공급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능 ‘백종원의 백패커’처럼 전문 조리인력과 민간조리원이 모든 부대원에게 식사를 제공하는 ‘수협 백패커’ 등 사업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노 회장은 지난달 발의된 해상풍력 계획입지 및 산업육성에 관한 특별법안(조경태 국민의힘 의원 대표발의)에 대해서도 환영의 뜻을 전했다. 해당 법안에는 정부가 해상풍력 적합 입지를 직접 선정하고,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 및 어업인의 의견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노 회장은 “수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도 없는 현재의 해상풍력 개발 방식을 바로잡는 이번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