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세계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목표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예고했다. 최 대행은 이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AI 컴퓨팅 파워 확충 지원도 약속했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연합뉴스) |
|
최 대행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AI 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에서 “우리 정부도 AI 경쟁력 강화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조만간 범부처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수립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027년까지 미국·중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AI 3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걸 목표로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AI 정책 컨트롤타워인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올해 AI 관련 예산만 1조 8000억 원에 이른다.
이날 최 대행은 “AI 산업 패권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며 “경쟁 구도도 기업 간 대결을 넘어 국가가 전면에 나서는 혁신생태계 간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첨단 반도체 수입 제재에도 불구하고 첨단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성공한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를 언급하며 “자본ㆍ인프라가 다소 부족해도 성능에서 넘어설 수 있다는 기회를 보여준다”고 했다.
최 대행은 이날 회의에서 “첨단 컴퓨팅 인프라는 AI 경쟁력의 핵심으로 국가 AI 컴퓨팅 센터의 성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가 점점 고도화하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분석·구동할 수 있는 컴퓨팅 인프라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상반기까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 8000장에 해당하는 컴퓨팅 파워를 확보하고 연내엔 고성능 GPU 1만 장을 확보해 AI 전용 슈퍼컴퓨터·데이터센터인 국가 AI 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개시한다. 내년엔 GPU 8000장이 들어가는 슈퍼컴 6호기를 구축한다.
최 대행은 “기술과 시장 변화가 빠른 만큼 컴퓨팅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기업 요구에 맞는 글로벌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확보해야 한다”며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모색하고 전력 수급 문제도 사전에 면밀히 짚어봐야 한다”고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