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들어 고꾸라졌던 2차전지가 다시 힘을 내는 배경에는 이는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영향이 컸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주 중국을 방문해 현지 사업 확장 의지를 드러냈고, 테슬라의 ‘모델3’ 등 주요 차종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2차전지 관련주들을 자극했다. 특히 테슬라의 주가는 7일(현지시간) 7개월 만에 장중 최고치를 찍기도 했다.
기관의 2차전지에 대한 순매수세 전환도 눈에 띈다. 그간 2차전지를 외면하고, 반도체를 사들였던 기관은 이달 들어 2차전지를 담았다. 기관은 지난 1일부터 이날까지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을 각각 1025억, 404억원 사들였다. 특히 기관은 두 종목에 대해 4거래일 연속 순매수세를 보였다.
이에 지난 26일 삼성전자(005930)는 14개월 만에 7만원 선을 넘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도 10만원 선을 넘어섰다. 그러나 이달 들어 반도체 주 역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주춤하고 있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일부터 이날까지 0.70% 소폭 하락했고, SK하이닉스도 1.01% 소폭 오르는 등 박스권을 그리고 있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에서도 엔비디아와 테슬라의 우위가 바뀌고, 대형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차익 실현이 출회되고 있다”며 “주도권이 반도체에서 2차전지로 이동하는 모습으로 보이며 주요 종목이 급등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
다만 증권가에서는 2차전지보다 반도체에 힘을 싣고 있는 형국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반도체 업황에 대해 “지난 4월 삼성전자의 생산 조정 동참으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올해 2분기부터 수급 균형 상태로 진입하며, 평균판매가격(ASP) 하락폭도 기존의 예상치 대비 축소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내다봤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2차전지와 반도체의 향후 전망은 긍정하지만, 2차전지의 경우는 미래의 밸류에이션을 끌어와서 현재 주가에 반영이 돼 주가가 올라가고 있는 형태지만, 반도체는 업황 불황에 바닥을 찍고 올라오는 추세라 반도체가 상승 여력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