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 부품은 중소기업 수출 4위 품목으로 올해 1분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한 10억 4000만달러(약 1조 5000억원)를 기록했다. 중소기업의 자동차 부품 수출 1위 국가인 미국으로의 수출은 같은 기간 3.5% 증가한 2억 9000만달러(약 4084억원)로 집계됐다. 대미 수출이 전체 자동차 부품 수출을 이끌고 있는 만큼 지난 3일부터 시행된 미국의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부과 조치로 수출 중소기업들의 우려 목소리가 큰 상황이다.
중기부는 자동차 부품 수출 중소기업의 현장 의견을 듣고 미국 관세 등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을 위해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특히 자동차 부품 산업은 완성차 업계와의 협력이 중요한 만큼 이날 간담회에는 현대차(005380) 관계자도 참여해 함께 논의를 진행했다.
이에 중기부는 미국 품목관세 조치로 경영환경 악화가 예상되는 자동차부품, 철강·알루미늄 관련 업종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1000억원 규모의 통상리스크긴급자금을 신설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트윈 서비스 업체를 운영하는 김재승 모빌테크 대표는 미래차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장비에 대한 수출 인증비용 지원을 요청했다.
이밖에 김태헌 모터이엔지 대표는 미국 현지 투자 및 생산 거점 확보를 위한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활성화 필요성을 언급하는 등 간담회에서 다양한 애로 및 건의사항이 논의됐다.
오영주 장관은 “자동차 부품 업계는 약 3만개의 부품을 생산하며 자동차 산업 생태계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약 33만명의 고용을 창출하며 우리나라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면서 “미국 관세 조치에 따른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우리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 및 환경규제 강화 등 글로벌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