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개방형은 구조를 최소화한 형태로, 공원이나 문화공간처럼 시각적 개방감이 중요한 공간에 어울린다. 특히 패널 단위로 조합이 가능해 현장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립·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부분개방형은 시선 차단과 개방감을 동시에 고려해 공공청사나 상업 지구에 적용할 수 있다.
흡연부스의 디자인은 ‘도시 환경과의 조화’를 핵심 가치로 두고 설계됐다고 시는 강조했다.
주요 부품은 교체가 쉽도록 모듈화했으며, 관리자 접근 동선도 별도로 확보해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였다.
시는 26일부터 동대문구 청량리역 광장에서 서울형 흡연부스 밀폐형 디자인을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또 흡연부스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서울형 흡연부스 디자인 지침(가이드라인)’을 이달 안으로 배포해 자치구와 민간 시설에서도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서울형 흡연부스를 통해 거리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청결하고 질서 있는 거리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