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8개 IB가 제시한 우리나라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 5월 말 평균 0.8%에서 6월 말 0.9%로 0.1%포인트 높아졌다. 내년 전망치도 1.7%에서 1.8%로 0.1%포인트 상향조정됐다.
8개 기관 중 바클리,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UBS 등 3곳이 전망치를 0.1~0.2%포인트 올려 잡았다. 구체적으로는 △바클리 1.0%→ 1.1%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0.8%→ 1.0% △UBS 1.0%→ 1.2% 등이다.
올해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가장 낮게 보고 있는 JP모건(0.5%)은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으며, 골드만삭스(1.1%), 노무라는(1.0%), HSBC는(0.7%), 씨티는(0.6%)도 기존 전망치를 변경하지 않았다.
해외 IB들은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안정성 제고와 적극적인 확장 재정 기조,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완화에 따른 수출 개선 기대감 등을 반영해 성장률을 올려 잡았다.
특히 1·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집행을 시작한 12조 2000억원 규모의 1차(필수) 추경에 이어 지난달에는 30조 5000억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일(현지시간) 포르투갈에 가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최근 발표한 추경안은 연간 성장률을 0.2%포인트 정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세가 지속될 경우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예상보다 늦출 수 있는 점은 성장에 부담을 주는 변수로 언급됐다.
실제로 한은 내부에서도 서울 집값과 연동된 가계부채가 최근 통화정책 방향결정에서 가장 큰 변수로 떠올랐다. 여전히 1% 안팎의 낮은 성장률이 전망되는 상황에서 경기를 고려해야 하지만 추가 금리 인하가 자칫 부동산 시장 과열을 부추기고 가계부채 증가세에도 기름을 부을 수 있어서다. 서울 집값 급등세가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부동산으로 자금이 집중될 경우 금융 불균형을 초래하고 국가 경제의 성장 잠재력과 동력을 갉아먹을 수 있다.
한편, 한은은 지난 5월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0.8%, 1.6%로 각각 전망했다. 한은은 매년 2·5·8·11월에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다. 다음 경제전망은 오는 8월 28일에 기준금리 결정과 함께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