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기업은 이날 홈 인테리어·리모델링 브랜드 ‘홈데이’를 론칭하고 내달 1일 서울 양천구 목동에 1호점을 개점한다고 발표했다. 국내외 80여개 브랜드의 벽지·바닥재·창호 등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에 사용하는 모든 제품을 판매·시공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3년 시작한 철근·석고보드 등 B2B(기업간거래)용 건자재 유통시장에 진입한 지 3년 만에 B2C 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하는 것. 지난해 548억원이던 건자재 유통 매출을 올해 1000억원까지 늘릴 수 있을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유진기업은 건자재 유통사업 외에도 꾸준히 사업다각화 노력을 하고 있다.
유통업은 그룹차원에서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하던 사업이다. 지난 2008년 하이마트(현 롯데하이마트(071840))를 인수한 것과 지난해 시내면세점 입찰에 참가한 점도 모두 유통업을 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하기 위해서였다.
특히 주력사업인 레미콘 사업이 연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다보니 건설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건설경기 호황이 이어지면서 레미콘 사업이 양호할 것”이라면서도 “최근 건축 관련 인허가 건수가 줄면서 하반기 이후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유진기업은 주력사업인 레미콘에서도 지난 9년간 놓치지 않았던 1위 자리를 삼표에게 내줘 수익성 확보를 위한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분석이다.
|
자회사를 통한 사업다각화도 한창이다.
지난 2014년 유진기업은 자회사 유진에너팜과 유진초저온을 통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초저온냉동물류단지 사업에 진출했다. 향후 에너지 솔루션과 바이오매스(생물연료)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과 유기성 폐기물 연료화 사업 등 에너지 관련 사업에도 단계적으로 진출해 시너지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유진기업 관계자는 “주력사업의 성장성이 밝지 않다보니 미래 성장성과 수익성을 담보하기 위해 사업다각화에 나서고 있다”며 “건자재 유통처럼 기존사업과 연계한 신사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