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 제목은 ‘조절 T세포와 대식세포에 의한 골융합, 골면역학 및 골면역학적 융합의 중재(Mediation of Osseointegration, Osteoimmunology, and Osteoimmunologic Integration by Tregs and Macrophages: A Narrative Review)’로 임플란트 시술 후 일어나는 골융합(Osseointegration) 과정을 조절 T세포(Tregs)와 대식세포(Macrophage)의 골형성 조절 활성을 기초로 해 면역학적으로 해석했다.
특히, 기존 골융합 개념을 한 단계 발전시킨 ‘골면역학적 융합(Osteoimmunologic Integration)’이라는 용어를 세계 최초로 제안했다는데 의미가 크다.
이어 “골면역학적인 이해는 임플란트 성공과 유지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실마리를 제공해 임상 결과의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DNA 조각(f DNA)인 PDRN은 임플란트의 성공과 유지를 위한 골면역학적 조절자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김덕규 제론셀베인 대표는 “이번 논문 게재를 통해 연구개발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도 임상가로써 학술적 기여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의약품 및 재생의학 기술을 선도해 나가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조직재생 및 면역조절 기반 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바이오 메디컬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넓혀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더울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논문의 원문은 2025년 6월 5일자 IJMS(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