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5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대미국 자동차 수출액은 25억 16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1% 감소했다. 지난 4월(-19.6%)에 이어 부진이 이어진 것이다. 미국이 지난 4월부터 모든 수입차에 부과한 25% 관세 여파가 컸다.
미국을 향한 수출이 줄면서 전체 자동차 수출도 줄었다. 액수로는 전년대비 4.4% 감소한 62억달러, 대수로는 3.1% 줄어든 24만 7577대를 기록했다. 유럽연합(EU·8억 3700만달러))과 아시아(6억 8300만달러), 중남미(3억 800만달러)로 수출이 각각 28.9%, 45.1%, 42.3% 늘며 선전했지만, 미국을 포함한 북미 시장(30억 7900만달러·-22.3%) 수출 감소분을 메우긴 부족했다.
르노코리아는 5대 완성차 중 유일하게 수출과 내수, 생산이 모두 늘었다. 1년 전보다 18.4% 늘어난 5658대를 수출했고, 내수 판매(4202대)는 121.0%나 증가했다. 생산량(8198대)도 12.6% 늘었다. 반면 현대차, 기아는 수출·내수·생산 모두 감소했다.
|
한편 이달 들어 자동차 수출은 플러스(+) 전환하며 회복하는 흐름을 보였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0일까지 자동차 전체 수출액은 13억달러로 전년대비 8.4% 증가했다.
‘깜짝 반등’은 자동차업계가 관세 충격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현지 시장점유율 유지에 공을 들인 결과라는 평가다. 다만 반등이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미국의 관세 영향이 점차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고, 업계 역시 관세 부담을 계속 떠안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다양한 내수 진작 대책을 검토하고 있고, 시행 중인 것도 있다”며 “자동차 부문 정책 금융 15조원의 집행률이 지난 4월 기준 30%를 조금 넘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