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희와 함께 하는 한국의 섬] 다시마의 고장 완도 금일도

해송과 해수욕장이 아름다운 섬
금일명사십리해수욕장
용항리 갯돌해변
  • 등록 2019-06-03 오후 1:48:24

    수정 2019-06-03 오후 1:48:24

[이데일리 트립in 이승희 기자] 밤새 내린 비는 수도꼭지가 고장 난 것처럼 멈출 줄을 모른다. 여행 전날 목포에 내려온 일행들과 아침 일찍 약산도 당목항으로 갔다. 서울에서 워낙 먼 곳이기에 시간을 버는 방법을 썼다. 항구에 도착하니 비가 멈춘다. 좋지 않은 날씨에 입도 허가증을 받은 것 같다. 당목항에서는 ‘항상 오늘인 섬, 금일도’와 ‘매일 생일인 섬, 생일도’를 운항하는 여객선이 기다리고 있다. 실제로 생일도 선착장에는 생일케이크 조형물이 있다. ‘약산 당목~금일 일정’이라고 쓰여 있는 완농페리3호에 올랐다. 당목항을 떠난 지 20여 분 만에 금일도 일정항에 도착한다.

금일도(金日島)의 원래 이름은 평일도(平日島)다. 섬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이래로 외침을 받지 않아 ‘평화로운 섬’이라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1896년 완도군이 생기면서 평일면이 되었다. 1914년 읍면 통합으로 금당면의 ‘금’ 자와 평일면 생일면의 ‘일’ 자를 합쳐 금일면으로 편제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 금일읍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1986년 금당면이 분리되고, 1989년 생일면이 분리되었다. 금일읍의 행정기관과 교육기관은 평일도에 있었다. 이런 이유로 평일도는 행정명 금일읍이 금일도로 고착되었다. 섬사람들은 평일도라고 부르고, 외지인들은 금일도라 부른다.

섬여행을 시작한 10여 년 전부터 알고 지낸 지인이 일정항에 마중 나왔다. 지인의 안내에 따라 소나무 숲이 좋은 월송리 해변에 여장을 풀었다. 소나무 위로 떠오르는 달이 아름다워 ‘월송’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월송리 해송림은 웅장하고 멋진 소나무 2,500여 그루가 1.2km 해안선에 줄지어 서 있다. 150~200년 전 마을주민들이 방풍림으로 심어 놓은 해송들이다. 산림욕을 하며, 조용히 사색하기 좋은 곳이다.

금일도 서쪽 동백리로 갔다. 금일도 맞은편 생일도 백운산을 보기 위해서다. 금일도 동백리 해변에서는 생일도 백운산이 투명 산으로 보인다. 백운산 능선이 일정하게 겹쳐 산이 투명하게 보인다. 착시현상이다. 대한민국에 이런 곳이 있을까. 신비로운 곳이다.

금일명사십리해수욕장을 갔다. 10여 년 동안 여행한 국내 450여 개 섬을 비교해 봤다. 임자도 대광해수욕장, 신지도 명사십리해수욕장과 함께 국내 3대 섬 지역 해수욕장으로 손꼽을 수 있는 곳이다. 아직 다리가 놓지 않은 섬이라 사람의 손때를 타지 않은 곳이다. 그래도 입소문 때문인지 여름 휴가철에는 방문객들로 섬에 교통체증이 심하다고 한다.

비가 내리면 부침개에 막걸리가 생각난다. 금일도에서 다리로 연결된 소량도 에는 유명한 막걸릿집이 있다. 여수 개도 막걸리, 낭도 막걸리와는 규모 면에서 비교는 안 되지만 이 지역 섬사람들에게는 낭만이 있는 곳이다. 일행은 소랑도 막걸릿집에서 목을 축였다. 김치맛이 일품이다. 비결을 물어보니 전라도 지역에서 많이 쓰는 젓갈 대신에 생새우를 갈아 넣는다고 했다. 계속되는 비는 막걸리 집에 일행을 잡아두는 명분이 되었다. ‘소랑’은 소라의 사투리다. 소라처럼 생겼다고 붙여진 섬 이름이다. 소랑도 또한 다시마 농사를 한다.

소랑도를 나와 금일도 명물 용굴에 갔다. 용굴은 금일도 바다에 살던 용이 승천할 때에 생겼다는 전설을 간직한 해안동굴이다. 금일도에 여러 번 왔지만 용굴은 처음이다. 용굴은 기대 이상으로 웅장하고 정교한 예술작품이었다. 금일도의 명소를 알게 되었다. 관광명소에 대한 관리가 소홀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용항리 갯돌해변에 갔다. 해수욕장 옆으로 새로 조성된 도보여행 코스가 있다고 했다. 지인이 꼭 알려 주고 싶어라 했던 곳인데 비로 인해 걷지를 못했다. 거친 파도에 갯돌은 사르르 사르르 연주하는 것 같다. 갯돌해변 앞으로 거북바위를 보인다. 갯돌해변에 거북 알을 낳고, 큰 바다로 나가는 어미 거북을 닮았다.

금일도를 다니면서 ‘다시마건조 인부모집’ 현수막이 보인다. 국내 최대 다시마 산지답다. 일행이 방문하기 일주일 전에 다시마 축제가 열렸다. 국내 다시마 생산량의 70% 정도를 이 섬에서 생산한다. 연 순수입 5억 원 이상 하는 사람이 많단다. 부자 섬이다. 금일도에는 밭이 없다. 밭이란 밭은 다시마 건조장으로 쓴다. 밭농사보다 바다 농사가 수익 면에서 월등하다는 이야기다. 다시마 건조장 풍경은 이 섬만의 특색이다. 신안의 섬에 염전이 많은 것과 같은 이치다.

금일도 최고봉 망산(234.5m)에 올랐다. 몇 년 전 방문했던 평일정사를 지나 마법같은 편백나무 숲을 지났다. 정상에 가까워질수록 아카시아 꽃향기가 난다. 정상을 향해가는 꿀벌이 되었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는 곳이다. 높지는 않지만, 금일도가 한눈에 들어온다. 산정상에는 작은 돌탑이 있고, 폐허가 된 초소가 있다. 남쪽으로 금일명사십리해수욕장과 월송리해변이 보인다. 북쪽으로 신도, 충도, 금당도가 보인다. 서쪽으로 이웃 섬 생일도가 보인다. 섬 산행으로 매력적인 곳이다. 숙소로 돌아와 제철인 낙지요리로 저녁 식사를 했다. 밤새 내린 비는 그칠 줄을 모른다. 파도 소리가 철썩이는 해변의 민박집에서 사내들은 밤새 섬 이야기로 잠들지 못한다.

다음 날 아침에도 바람난 바다의 욕정은 거친 파도가 되었다. 가랑비 속에서 금일읍에 속한 부속 섬을 돌아본다. 먼저 간 곳은 충도다. 충도 선착장에 내리자 맞은편으로 보이는 신도는 구름 모자를 썼다. 충도 마을 입구에는 ‘충도리’라는 비석이 있다. ‘충성할 충’ 자를 썼다. 섬에 곤충이 많아 충도(蟲島)라고 했지만 마주 보고 있는 조도(鳥島, 현재 신도)가 충도를 잡아먹는 형국이라고 하여 충도(忠島)로 조도는 신도(身島)로 개명했다.

어장을 둘러싼 갈등은 도서 지역에서 번번이 일어났으니 그럴싸한 이야기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나라에서는 해준 것도 없으면서, 충성을 강요하던 시기에 지어진 이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그것을 증명하듯 마을 입구에는 효자비와 열녀비가 한 울타리 안에 멋있게 조성되어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입맛이나 편의 때문에 지명을 개명한 곳이 많다. 우리 고유지명을 되찾아야 할 이유다.

충도도 밭마다 다시마 건조장이다. 이 섬이 외국인가 하는 착각이 든다. 젊은 사람들은 대부분 외국인이다. 동남아, 몽골, 러시아 젊은이들이다. 한국말도 제법 한다. 우리 농어촌의 현실이다. 마을 넘어 섬 뒤편까지 걸어간다. 해무가 섬을 삼키고 있다. 선착장으로 돌아오는 길. 마을 입구 보건소 뒤편에는 유관순 열사 동상이 있다. 초등학교 자리였음을 알 수 있다. 섬에 가장 좋은 땅은 학교 자리와 교회 자리다. 정자에서 갑오징어 파티가 열렸다. 일행 중 한 분이 주민에게 갑오징어를 샀다. 현지에서 먹는 싱싱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섬에 다니는 이유 중의 하나는 싱싱한 먹거리에 있다.

충도에서 신도로 넘어왔다. 신도란 이름의 섬이 전국에 꽤 많다. 선착장 인근에는 재미있는 모습이 연출된다. 그 옛날 힘들었던 섬살이를 상징하던 뗏마와 현재 어촌의 부를 상징하는 에쿠스 자동차가 앞뒤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신도는 이웃 섬과 다르게 멸치막이 보인다. 조만간 신도에는 멸치 삶는 냄새가 진동할 것이다. 신도마을 안으로 갔다. 아주 작은 마을이다. 초등학교 자리는 철거되어, 다시마인지 멸치인지 알 수 없는 건조장으로 쓰이고 있었다. 건어물이 건조되어 뭍으로 나가듯 아이들의 웃음소리도 건조되어 뭍으로 나갔으리라. 마을 꼭대기에는 신도교회가 있다. “이 섬은 신도가 없어서 고생할 일은 없겠다.”라는 우스갯소리를 했다. 비속에 신도를 찾은 일행을 걱정해 주신 교회 사모님의 다정한 목소리가 잊히지 않는다.

[완도 금일도 여행 정보]

금일도를 운항하는 여객선은 완도 약산면 당목항과 고흥 녹동항 두 곳에서 출발한다.

약산면 당목항에서는 아침 6시 30분부터 저녁 7시 20분까지 30여 분 간격으로 수시로 운항한다. 소요시간 20분. 편도요금 3,300원. 완도군청 홈페이지->생활복지->여객선정보란 참조

고흥 녹동항에서는 6:00, 9:15, 13:00, 16:30 하루 4회 운항한다. 소요시간 1시간 15분. 편도 9,900원. 평화해운 홈페이지 참조

* 함께 하면 좋은 여행지

완도 약산면 당목항을 이용할 경우 강진과 완도 고금면을 거친다. 강진의 다산초당, 백련사, 사의재, 영랑생가, 가우도와 고금면 묘당도 이충무공유적지 등을 함께 여행할 수 있다.

고흥 녹동항을 이용할 경우 벌교의 태백산맥문학관, 보성여관, 홍교와 고흥의 쌍충사, 소록도, 거금도, 연홍도 등을 함께 여행할 수 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비상계엄령'
  • 김고은 '숏컷 어떤가요?'
  • 청룡 여신들
  • "으아악!"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