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경제전망에선 지난달과 비교해 비슷한 진단을 내놨지만, 미·중 무역합의와 소비자 및 기업심리 지수가 다소 상승한 측면이 반영되면서 부정적인 표현이 추가되지는 않았다. 정부는 지난 3월호에선 ‘수출 증가세 둔화’라는 표현을 쓰다가 이후 수출이 소폭 반등하면서 4월호에서는 해당 표현을 넣지 않았다. 그러다 미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대미 수출 등이 감소하자 5월호에서 ‘수출 둔화 등 경기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라는 문장으로 수위를 높였다.
조성중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지난달과 이달 초 경제 지표를 보면 5월보다 지표가 악화한 것이 없고, 미·중 합의와 소비자·기업심리 상승은 긍정적인 요인이다. 이를 감안하면 ‘하방 압력’이 커지진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에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가 보다는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라는 표현을 넣었다”고 설명했다.
전산업 생산은 기타친환경차와 특수목적용 자동차 등 완성차 생산 감소로 자동차 생산이 4.2% 줄고, 반도체도 플래시메모리, D램 등 메모리반도체 생산이 2.9% 감소하면서 전체 광공업 생산이 0.9% 줄었다. 소매판매 역시 통신기기와 컴퓨터 등 내구재(-1.4%), 의복 등 준내구재(-2.0%), 의약품 등 비내구재(-0.3%)에서 판매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0.9% 감소했다. 설비투자와 건설기성도 각각 0.4%, 0.7% 감소했다. 특히 건설수주는 기계설치 등 토목(-33.8%) 및 공장·창고 등 건축(-11.0%)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17.5% 감소했다. 지난 2024년 1월(-35.3%) 이후 15개월 만의 최대 낙폭이다. 수출도 전년동월대비 1.3% 줄었다.
고용은 전체적으로 취업자 수가 24만 5000명 늘어 작년 4월 이후 13개월만에 20만명대를 회복했지만, 내수와 관련이 있는 건설업(10만 6000명, -5.1%)과 제조업(6만 7000명, -1.5%) 등에선 감소세를 이어갔다. 불황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 고용도 1년 전보다 6만 7000명 줄며 15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정부는 활력을 잃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안 마련을 신속하게 하고 통상 리스크 대응에도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조 과장은 “경기 회복, 소비 활성화 및 취약계층·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한 추경을 속도감 있게 마련 및 추진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