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
AI 인프라 확보·구축·운용은 민간 클라우드 기업(CSP)이 맡는다. 공모를 통해 선정하며, 국가 AI컴퓨팅 센터에 참여하는 CSP를 우선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확보한 GPU는 선정된 기업의 기존 데이터센터 상면 내에 순차적으로 구축하지만 향후에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중심으로 순차 구축된 GPU를 활용하고 국내 산학연과 국가적 프로젝트 지원 등에 전략적으로 배분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AI 3대 강국(AI G3) 도약을 가속화할 전초기지로 민·관 합작 특수목적법인(SPC)인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공공과 민간 각각 51% 대 49% 비율로 출자한다. 비수도권에 2027년까지 1엑사플롭스(EF) 이상, GPU 3만장 규모의 AI 컴퓨팅 인프라 센터 개소가 목표다. 미리 확보한 GPU를 기반으로 올해 서비스를 조기 개시할 방침이다.
국가 AI컴퓨팅 센터에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이달 19일부터 30일까지 사업참여계획서를 접수해야 한다. 이후 기업에 대해 금융 심사를 거쳐 통과한 경우 SPC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10월 안에 SPC 설립 완료가 목표다.
민간에서는 SPC 공모지침서에 포함된 독소조항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SPC가 공공 기관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고, 민간참여자에 공공지분 매수 의무를 부여하는 매수청구권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부담을 느끼는 분위기다. 추후 SPC 청산시 SPC 공공투자 지분은 이자까지 얹어 민간이 챙겨줘야하는 구조라 모든 손해를 민간이 떠안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다.
매수청구권과 관련해서 정부는 “매수청구권은 공공 출자금 회수와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SPC가 안정적으로 운영ㆍ유지될 수 있도록 SPC에 대한 인센티브 등 종합적 지원정책 병행 추진한다”며 “정부 사업의 AI컴퓨팅 인프라 수요 연계, 정부구매 GPU 수익금 인센티브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 AI컴퓨팅센터 입지를 비수도권으로 제한하고 있는 점도 지적된다. 이에 대해 정부는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기존 계획대로 비수도권에 단일 센터로 집적해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비수도권 제한 입장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