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온라인 플랫폼 확산과 인공지능(AI) 추천 등 디지털 기술 발달에 따라 디지털콘텐츠,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멤버십 서비스 등 산업 전반에서 구독서비스 방식이 기업의 주요 경영 전략으로 채택되고 있다.
하지만 구독서비스 거래 과정 전반에서 △계약 체결·갱신 시 충분한 정보제공이 이뤄지지 않거나 △특정 기능이 이미 탑재돼 있음에도 추가로 구독요금을 지불해야만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거나 △청약철회를 방해하는 등 소비자 측면에서 불편과 우려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공정위는 실태조사에 앞서 문헌조사, 학계 및 업계 간담회 등 의견수렴을 통해 조사대상과 항목을 선정한 바 있다.
주요 조사항목은 사업 일반현황, 고객센터 운영 현황, 계약 체결 및 갱신 시 정보제공 현황, 청약철회·일반해지·중도해지 정책 및 현황 등이다.
공정위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독서비스 시장의 공정한 소비자거래 질서 확립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학계 및 외부 전문가 자문을 거쳐 연말까지 ‘구독경제와 소비자 이슈 정책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