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국민의힘에서 대통령실로 파견됐던 행정관들 중 2명이 당으로 복귀를 했다. 이를 두고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통령실이 폐업 절차, 국민의힘은 대선 준비에 착수한다”고 주장하자, 대통령실은 “명백한 가짜뉴스”라며 선을 그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당으로 복귀한 행정관 2명은 지난해 11월부터 이미 복귀의사를 밝혔고, 이에 따라 전날 인사 조치를 했다”며 “(야당 주장은) 사실과 다른 내용을 유포해 대통령실 인사까지 왜곡 선동하는 무책임한 언사”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은 앞으로 당 파견 인력에 대한 인사 조치를 하지 않기로 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나 탄핵 국면 상황에서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겠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
대통령실은 “피고발인들의 행위는 법 위반임이 분명할 뿐 아니라, 대한민국 국가원수와 그 배우자를 피해자로 삼아 공개적으로 이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허위 영상물 제작 및 유포 등은 용납할 수 없는 중대한 범죄행위”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 판단이 내려질 때까지 국정 운영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달 31일 정진석 비서실장을 비롯해 대통령실 주요 참모들은 서울 구치소 접견에서 “대통령실이 국정의 중심인 만큼 의기소침하지 말고 각자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달라”는 윤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실제로 대통령실은 최근에도 정 실장 주재로 매일 오전 회의를 하며 주요 현안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달 초에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고관세와 관련한 국내 기업과 경제 영향 점검 및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에 대한 긴급 회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편 한국갤럽에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으로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이 인용될 것이라고 보는 의견은 59%, 기각될 것이라는 응답은 32%로 조사됐다.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찬반 여부를 묻는 질문에선 응답자 57%가 찬성, 38%는 반대 의견을 보였다. 4%는 의견을 유보했다.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