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소리 다섯 바탕 중 ‘수궁가’를 80여 분으로 압축한 공연이다. ‘상좌다툼’, ‘좌우나졸’, ‘범 내려온다’, ‘토끼화상’, ‘토끼팔란’ 등 ‘수궁가’의 눈대목을 독창, 합창, 입체창 등 다채로운 형식으로 무대에 펼친다.
국립창극단 중견 단원 김금미가 해설 겨인 도창을 맡는다. 토끼 역 김준수, 자라 역 유태평양, 용왕 역 이광복 등 젊은 소리꾼들이 주역으로 나선다. 국립창극단 단원과 청년교육단원 등 48명이 출연한다. 유은선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겸 단장이 직접 극본을 구성하고 연출하며 소리꾼 한승석이 작창으로 함께한다.
|
올해도 안숙선 명창과 그의 제자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안숙선 명창은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로 2010년부터 14년간 국립극장의 12월 ‘송년판소리’ 무대를 책임져왔다.
2부는 전 국립창극단 단원이자 전북대 한국음악학과 교수로 활동 중인 김지숙, 전 국립창극단 예술감독이자 국립민속국악원 국악연주단 예술감독으로 활동 중인 유수정, 소리꾼 남상일 등이 출연한다. 판소리부터 민요까지 신명 나는 무대를 펼친다.
‘송년판소리’의 고수로는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 김청만,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고법 이수자 이태백이 함께한다. 유은선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겸 단장이 해설과 사회를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