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하고 체감온도를 낮추는 ‘쿨링시티 서울’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시원한 그늘막과 물안개(쿨링포그) 등 폭염저감시설을 늘려 도심의 온도를 낮추고 시원하며 안전한 보행환경을 제공한다.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폭염 위기단계별 대응체계’를 빈틈없이 가동한다. ‘관심’ 단계인 평시에는 상황관리TF팀이 위험 징후를 감시하고 ‘주의·경계·심각’ 등 폭염특보 발효시에는 시와 자치구에 ‘폭염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고 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온열질환자 응급실 감시체계도 확대 운영한다. 서울시 내 응급실 운영의료기관 70개소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를 접수하고 온열질환 의심환자 현황을 관리한다. 지난해 64개소에 대해 감시했던 것에서 6개소 늘려 더욱 촘촘히 관리한다. 확정된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공개한다.
어르신·쪽방주민·중증 장애인·야외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보호도 강화된다.
어르신 돌봄 인원을 전년보다 1600여 명 늘려 3만9343명으로 확대하고 폭염특보 발령 시 생활지원사가 1~2일마다 전화·방문으로 안부를 확인한다. 쪽방 주민을 위한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10개조 20명이 1일 2회 순찰하고 노약자나 기저질환자를 대상으로 주 2회 쪽방간호사가 방문해 건강을 살핀다.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2만7000명에게는 활동지원사·야간 돌보미를 통해 24시간 건강관리를 지원한다.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에는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금을 지난해 4인 기준 183만원에서 올해 187만원으로 4만원 인상해 지원한다. 에너지 취약계층에게 지급하는 에너지바우처는 올해부터 동·하절기 구분 없이 통합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취약계층 맞춤형 폭염 대피공간도 확대된다. 쪽방주민을 위한 동행목욕탕 등을 활용한 ‘밤더위대피소’를 기존 4개소에서 6개소로 2개소 늘린다. 또한 ‘이동노동자쉼터’도 지하철 역사를 포함해 총 6개소로, 냉방시설과 생수 등을 갖춘 안심 휴게 공간으로 운영된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폭염취약계층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시의 역량과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