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어린이나 여성, 치매환자 등이 범죄나 사고를 당했을 때 경찰과 소방기관에 위치정보가 자동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이 갖춰진다.
국토교통부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세종·안양·오산시, LH(한국토지주택공사), SK텔레콤 등과 오는 20일 ‘사회적 약자 보호 연계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사회적 약자에게 범죄·사고 등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유비쿼터스 도시(U-City) 통합운영센터(이하 유시티 센터)가 통신사로부터 위치정보, 사진 등을 제공받는다. 이후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으로 현장상황을 파악 후 경찰과 소방관에게 이를 알려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됐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현재에도 아동, 여성, 치매환자, 독거인 등의 위급상황 대처를 위해 통산사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나 적기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상황발생시 비전문가인 보호자(부모)가 대응했기 때문이다. 이번 업무 협약 체결로 긴급 상황 발생 시 도시를 24시간 관제하는 유시티 센터와 통신사 간 연계시스템이 구축된다. 특히 위치추적 기술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접목한 서비스로 각 정부부처의 관련 서비스 이용자들이 혜택을 볼 전망이다. 교육부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어린이 U-안심 알리미 서비스’와 보건복지부에서 치매노인 등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배회감지기 보급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전국 170개 유시티 센터의 CCTV 영상과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등을 활용해 신속한 현장출동과 상황대응이 가능해졌다”며 “에너지·환경·의료 등 다양한 분야로 연계사업을 확대하고 우수 스마트 시티 모델로 육성해 해외시장 진출에도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송 SK텔레콤 IoT솔루션 부문장도 “이번 협업을 계기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새로운 도시형 서비스와 기술을 실제 도시공간에서 구현·확산하는 시초가 되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