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에리카 스탠포드 이민부 장관은 이날 “4월 1일부터 ‘액티브 인베스터 플러스’(Active Investor Plus) 비자는 ‘고위험 투자’와 ‘혼합 투자’ 두 가지 범주로 좁아지고, 허용되는 투자 범위는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또 “언어 시험을 폐지하는 것 외에도 투자자가 의무적으로 국가에 머물러야 하는 기간 등 다른 잠재적인 장벽도 (낮추는 방향으로) 조정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뉴질랜드는 2022년 7월 골든 비차 취득 요건을 최소 1500만뉴질랜드달러 투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자산이나 자금을 보유토록 강화했다. 이후 이 비자에 대한 신청 건수는 43건에 그쳤다. 투자 유치액도 5억 4500만뉴질랜드달러(약 4476억원)에 불과하다. 비자 프로그램 개편 전 연평균 10억뉴질랜드달러(약 8213억원)를 유치했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또한 실제로 국경을 넘어 유입된 자금은 훨씬 적은 규모였다고 뉴질랜드 정부는 설명했다.
오는 4월부터는 고위험 투자 비자를 얻으려면 3년 동안 사업 또는 펀드에 최소 500만뉴질랜드달러(약 41억원)를 투자하고 뉴질랜드에서 21일만 체류하면 된다. 혼합 투자 비자는 5년 동안 주식, 채권, 부동산에 최소 1000만뉴질랜드달러(약 82억원)를 투자하고 105일 간 머무르면 취득 자격이 주어진다.
한편 뉴질랜드는 다양한 부문에서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비자 프로그램 외에도 외국인 여행객이 뉴질랜드에 체류하는 동안 원격 근무를 할 수 있도록 디지털 노마드 정책을 펼치는 한편, 해외 펀드의 뉴질랜드 투자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기관인 ‘인베스트 뉴질랜드’를 설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