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조선, 바이오 등 주요 산업 기업의 보세가공 제도 이용 편의를 높이는 여러 방안을 담았다. STAR는 이번 전략의 네 키워드인 스타트업(Start-up)과 물류(Transportation), 자율(Autonomy), 절감(Reduction)의 약자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발 관세전쟁이 본격화하며 우리 수출기업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보세가공 같은 수출 현장에서부터 우리 수출기업의 비용·행정부담을 덜어내자는 취지다.
이전까진 반도체 기업이 보세공장 내 시제품이나 연구품을 연구소로 반출하려면 수입통관 후 관세를 내야 했으나 앞으론 수입통관 없이 과세보류 상태로 옮길 수 있다. 신제품 연구나 불량제품 원인 분석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방산업체도 관세법 절차 생략 혜택이 있는 자율관리 보세공장으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바꿨다. 원래는 세관에 대한 업무 시스템 열람 권한 제공을 전제로 가능한 것인데, 방산업체는 보안에 민감하다는 점을 고려해 세관 협조 요청 때 열람을 보장한다는 확약서 제출만으로도 지정이 가능케 했다.
고광효 관세청장은 “우리 기업이 미·중 패권경쟁과 트럼프 2기 행정부발 관세전쟁 환경에서 지속 성장하려면 관세 인상 부담을 상쇄할 정부의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번 전략 추진으로 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새 성장동력 창출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