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는 AI와 GPU 기반 컴퓨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병원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며, 간호 로봇·디지털 트윈·AI 진단 플랫폼 등을 의료 현장에 적용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
전 세계 의료 시스템은 2030년까지 간호 인력 450만 명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원인으로는 의료진의 만성적 탈진과 반복 작업이 꼽힌다.
폭스콘은 엔비디아 기술을 기반으로 협동 간호 로봇 ‘누라봇(Nurabot)’을 개발해 대만의 타이중 재향군인 종합병원(TCVGH)에 시범 도입했다. 누라봇은 약물·샘플 운반 등 반복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간호사들이 보다 의미 있는 간호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슈팡 류 TCVGH 간호국 부국장은 “대만은 의료 인프라와 디지털 역량이 모두 갖춰져 있어 로보틱스 통합에 이상적인 환경이다. 누라봇은 간호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하는 도구”라고 했다.
|
엔비디아와 폭스콘의 스마트 병원 플랫폼은 고성능 데이터센터에서 대규모 의료 AI 모델을 훈련하고. 병원 운영·설계를 위한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며, 실제 병원 환경에서 로봇과 센서가 실시간 AI 판단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병원 설계, 운영 시뮬레이션, 로봇 훈련, 임상 현장 대응까지 물리-디지털 통합 기반의 의료 환경을 실현하고 있다.
폭스콘은 대규모 의료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혼하이 슈퍼 AI 컴퓨팅 센터 1’를 구축, 엔비디아 Hopper GPU 기반 DGX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특히 메트로하버 병원 영상의학과에서는 코닥터를 실시간 진단 보조 도구로 활용 중이며, AI 기반 워크플로우 최적화가 성과를 내고 있다.
폭스콘은 엔비디아 및 학술 의료기관이 개발한 의료 AI 오픈소스 플랫폼 ‘MONAI’에 자사 모델을 제공할 계획이다.
글로벌 병원 디지털화, 데이터센터부터 엣지까지 ‘풀스택’ 전략
엔비디아와 폭스콘의 협력은 단순한 하드웨어 공급을 넘어 AI 인프라·데이터 모델·추론 응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스마트 병원 전략을 보여준다.
TSMC, 지멘스, 시놉시스와의 반도체 협업에 이어, 헬스케어 산업까지 AI 인프라 공급 범위를 확대하는 셈이다.
양사는 5월 21~22일 개최되는 컴퓨텍스(Computex 2025) 현장에서 관련 기술 시연을 통해 글로벌 파트너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