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씨 측 변호인은 김 전 의원에게 돈을 받은 것에 대해 “김 전 의원실 총괄본부장으로 일하며 급여와 정치자금 대납 변제금 명목으로 돈을 받은 것”이라며 불법 정치 자금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예비후보 공천 대가로 돈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돈을 본 적도, 만진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증거은닉 교사 혐의 역시 “핸드폰을 숨기려 한 것이 아니라 원래 있던 곳에 두라고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전 의원 측 변호인도 “명씨를 통해 국회의원 후보자로 추천된 것이 아니기에 돈을 준 사실이 없고, 배씨와 이씨를 예비후보자로 추천하는 데 관여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다.
이날 첫 공판에서는 피고인이자 검찰 측 증인인 김 전 소장의 증인신문이 진행됐다. 김 전 소장은 “명씨가 김 전 의원의 명의를 빌려 미래한국연구소를 만들었는데 2019년 업체가 여론조사 문제로 검찰 조사를 받게 됐다”며 “당시 저는 친인척 관계인 김 전 의원의 정치적 재개를 돕고 있어서 제가 희생하는 것으로 하고 법인 대표를 저로 바꿔 검찰 조사를 받았었다”고 말했다.
또 명씨와 김 전 의원의 관계를 묻는 질문엔 “김 전 의원이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다음날 명씨가 사무실에서 보좌관을 다 임명했다”며 “이날 여러 사람 앞에서 명씨가 김영선을 당선시키는 조건이 보좌관을 다 임명하기로 한 것이었다고 말했는데, 실제 명씨가 말한 사람들이 다 보좌관으로 임명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후 지역에서는 김영선이 꼭두각시고 실질적인 국회의원은 명태균이라는 소문이 났었다”고 증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