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마무리 수순을 밟고 있는 가운데 헌법재판소 인근이 경쟁적인 탄핵 찬반 집회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그간 양측은 시간대를 달리해 집회를 열었지만, 여론전 양상으로 흐르면서 정면대결도 불사하며 헌재를 압박하는 양상이다.
 | 한국여성단체연합 관계자들이 18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고 있다.(사진=뉴스1) |
|
한국여성단체연합 7개 지부, 29개 회원단체들은 18일 오후 서울 안국역 1번 출구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는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과 재임기간 동안 여성과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정치적 자원으로 활용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쟁 위협을 상시화함으로써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들을 더욱 불안정한 상황에 내몰았다”며 “성평등 사회 실현을 요구하는 여성과 소수자들의 존재를 지우려 했던 윤석열 정권은 혐오와 차별, 폭력의 언어로 민주주의 체계를 부정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여성 시민들은 절박하게 윤석열 탄핵을 촉구한다”며 “성평등한 사회가 민주주의 보루다”고 덧붙였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이 열린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안국역사거리에서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 및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
같은 시각 기자회견 장소에서 약 100m 떨어진 안국역 5번 출구 앞에서는 자유통일당 등 보수단체의 탄핵 반대 집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 참가자들은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에 대한 정당성을 강조했다.
첫 연사로 연단에 오른 20대 남성은 “비상계엄이 21세기에는 있어서는 안 된다는 발언은 몰상식하다”며 윤석열 정부 때 이뤄진 탄핵이 대한민국 수립 이후보다 많다는 점,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부정선거 조사에 응하지 않은 점 등을 근거로 언급했다. 그는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비상계엄의 형식을 빌려 소수의 병력을 투입함으로써 선관위를 조사하고 국민들에게 호소한 것이 21세기에 안될 일이고 내란이라고 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한복을 입고 갓을 쓴 남성은 윤 대통령이 불법 탄핵·구속을 당했다며 “법치주의가 무너지고 있는 처참한 현실”이라고 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무너지면 우리 같은 시민은 더 당하는 게 상식”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탄핵심판 9차 변론기일 참석을 위해 헌재에 도착했지만, 변론 시작 직전 서울구치소로 복귀했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은 “윤 대통령은 오늘 변론기일에 출석하기 위해 나왔으나, 대리인단과의 회의를 통해 오늘 진행할 절차와 내용은 지금까지 진행된 상황을 정리해 양측 대리인단이 의견을 설명하는 날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구치소로 복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