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정신과적 질환으로 응급상황에 놓인 환자가 초기에 치료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된다. 정부는 경찰·소방과 정신의료기관 실무자까지 참여해 환자 이송과 입원을 차질 없이 진행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 정신의료기관 응급병상정보 공유시스템 화면 중 일부(자료=보건복지부) |
|
보건복지부는 ‘정신의료기관 응급병상정보 공유시스템(이하 정신 응급 공유시스템) 구축 사업’의 수행기관을 선정, 서울·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수행 기관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다.
정신 응급 공유시스템은 △경찰 △소방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의료기관 실무자가 정신과적 응급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신속히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정신 응급환자 발생 시 정신 응급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여유병상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이를 통해 현장 요원은 응급환자를 치료 가능한 병원으로 제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상자 상태에 따라 적정 병원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구분했다. 또한, 편리한 검색 기반 마련으로 현장요원의 업무부담 경감시키며 이송 담당자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한다.
정신 응급환자는 다른 응급환자와 달리 대응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더욱더 한정돼 있다. 응급환자 치료 후 배후진료 연계까지 고려하면 정신 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곳은 더욱 줄어든다. 환자를 받아주는 병원을 찾기 어려워 현장 실무자 또한 업무 부담 또한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에 정부는 제2차 정신건강복지 기본계획(2021∼2025년)의 하나로, 지역 기반의 정신 응급 대응체계 확립을 위한 과제로 추진됐다. 정신 응급환자 발생 시 이송 및 입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관 간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최종 목표다.
이상원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정신건강 위기 상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활성화가 중요하다”라며, “시범운영을 통해 제기되는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