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탐방객 수 1위인 국립공원은 북한산이다. 22개 국립공원 탐방객의 약 17.2%에 해당하는 700만명이 방문했다.
탐방객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립공원은 오대산으로 나타났다. 오대산에는 전년 대비 32.6% 증가한 165만명이 방문했다. 특히 오대산의 명소인 월정사 방문객은 2023년 5월부터 시행된 문화재 관람료 폐지 덕분에 전년 대비 40만명이 증가한 약 147만명을 기록했다.
가장 인기 있는 탐방로는 계룡산 수통골 구간으로 지난해 115만 명이 탐방했다.
특히 지난해 한 해 동안 △누구나 걷기 편한 무장애탐방로 24곳 △자연 속에서 쉴 수 있는 야영장 12곳 △탐방안내소 및 체험학습관 13곳 △하늘탐방로와 숲놀이시설 12곳 등 62곳의 탐방시설을 확충했다. 이들 이용시설은 연간 약 970만명이 이용했다.
이밖에 국립공원 내 반려견 동반 탐방을 시범 운영하는 등 불편했던 규제에 대한 개선 작업도 진행 중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올해 덕유산 무장애탐방로, 계룡산 생태탐방원, 숲체험시설 등 탐방시설 7곳을 준공한다. 또한 국립공원형 늘봄학교와 같은 환경교육을 비롯해 임신부 대상 숲속 태교여행 등의 탐방약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국립공원은 국민에게 치유의 공간이자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자산”이라며 “2030년 탐방객 5000만명을 목표로 무장애탐방로, 야영장, 생태탐방원 등 탐방시설 30곳을 2027년까지 추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취약계층을 위한 장애인 수어 스쿠버다이빙, 노인 대상 국립공원 수학여행, 방한 외국인 탐방 안내 확대 등 탐방 만족도와 자연보전 가치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23년말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팔공산은 탐방객 집계 시설 구축 관계로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