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시위에 멕시코가 개입한다고?”…SNS서 가짜뉴스 봇물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조회수 노리고 AI로 과거 영상·사진 조작 등
진보 vs 보수 분열 부추키는 등 음모론도 범람
“AI가 불안·혼란 증폭시켜…사실인 것처럼 답변”
  • 등록 2025-06-11 오후 12:55:41

    수정 2025-06-11 오후 1:00:17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이민 단속 및 반발 시위와 관련해 가짜뉴스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조회수 등을 노리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악용하는 사례가 점람하고 있어서다.

미국 소셜미디어(SNS)에서 허위정보 및 가짜뉴스가 범람하면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당신은 연료, 식량, 물, 잠자리도 없이 군대를 이곳에 보냈다”며 공유한 사진도 조작 논란에 휩싸였다. (사진=뉴섬 X 캡쳐)


CNN방송, 뉴욕타임스(NYT) 등은 10일(현지시간) “대부분의 로스앤젤레스(LA) 시민들은 현실 세계에서 아주 평범한 하루를 보내고 있다. 하지만 소셜미디어(SNS) 알고리즘과 인공지능(AI)이 허위정보와 과장된 영상을 퍼뜨리면서 시민들의 불안과 혼란을 키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엑스(X·옛 트위터), 틱톡, 페이스북 등 온라인에서 LA는 ‘도시 전체가 불타는 전쟁터’라는 왜곡된 이미지로 묘사되고 있다. 미 언론들은 현실에선 군·경과 시위대의 충돌이 지극히 제한된 구역 안에서만 벌어졌지만, SNS에서는 “LA 전체가 무정부 상태”라는 극단적 프레임이 반복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멕시코가 LA에서 군사 개입을 검토 중이라거나, 시위대가 멕시코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는 등의 음모론까지 등장했다. 이들 영상은 수백만뷰를 기록했다. 틱톡에서는 “오늘 시위 진압을 준비 중”이라는 미군 병사 라이브 영상이 96만뷰를 기록했으나, BBC방송의 팩트체크 결과 AI가 만든 가짜 영상으로 확인됐다.

X에서는 극우 성향 인플루언서들이 시위대를 ‘폭도’ ‘테러리스트’로 비난하고 있으며, 블루스카이 등 진보 성향 플랫폼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방위군 투입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플랫폼별 이용자 성향에 따라 전혀 다른 여론과 ‘현실’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CNN 등은 “과거 폭동 장면이나 영상, 사진 등을 AI로 합성·조작한 시각 자료가 대거 유포되고 있다. 검증되지 않은 계정들은 조회수, 영향력, 혼란을 노리고 양 진영의 불안감을 자극하는 콘텐츠를 무차별적으로 쏟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챗GPT, 그록 등과 같은 AI 챗봇이 혼란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이용자들이 챗봇에 사진이나 영상 등의 진위를 묻자, 챗봇이 허위 답변을 내놓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고 매체들은 전했다. 전문가들은 “SNS와 AI가 결합한 정보환경에서는 실제보다 훨씬 과장된 위기감·분열이 증폭되고 있다. AI와 알고리즘이 가짜뉴스를 증폭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심지어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 배우 제임스 우즈 등 유명 인사들까지 과거 영상을 ‘실시간’인 것처럼 공유해 논란이 됐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와 LA시 당국은 “SNS에 떠도는 영상·사진 상당수가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시위 등 과거 장면”이라며 “반드시 공식 출처를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한편 미국과 대립 중인 러시아와 중국의 국영 언론들은 LA 시위 영상을 적극 활용하며 여론전에 나서고 있다. 중국 관영매체는 “미국 정부가 자국 시위에는 강경 진압, 해외 시위에는 인권 운운”이라는 프레임을 부각했고, 러시아 매체는 “LA에 벽돌이 쌓였다”는 가짜 사진까지 퍼뜨렸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MICE 최신정보를 한눈에 TheBeLT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한복 입고 李배웅, 누구?
  • 영부인의 한복
  • 곽재선 회장-오세훈
  • 걸그룹?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