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그룹은 이날 오전 양종희 회장 주재로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 협의회’를 열고 지주 임원들과 함께 향후 발생 가능한 시니리오를 점검했다. KB금융그룹은 △이란·이스라엘 충돌 관련 국제유가 움직임 △중동 주변국가로 확전될 경우 중동지역 주요 산유국의 유가 변동성 리스크 △전세계 원유의 20%가 유통되는 호르무즈 해협을 이란이 봉쇄할 경우 국제유가 상승 가능성 등을 주요 리스크로 진단했다.
KB금융그룹은 자본시장 손익을 매일 점검하고 글로벌 부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키로 했다. KB금융그룹 관계자는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 등 선제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며 “국제 유가 급등 시 피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도 선제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이날 오후 리스크관리그룹을 중심으로 위기관리협의를 열고 부분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우리금융은 전날 임종룡 회장 주재로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한 후 이날 오전 정진완 행장 주재 회의에서 시장상황을 살펴봤다. 정진완 우리은행장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외화 유동성 관리를 강화하고 수출 피해기업 등 기업고객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확대하겠다”며 “특히 기업금융전문가(RM)를 중심으로 수출 피해기업을 신속히 파악하고 현장 중심의 금융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정보보안을 위해 국외점포를 포함한 내부 IT 체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이 경우 국제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선까지 단순에 상승할 수 있으며 국내·외 인플레이션으로 한국은행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가 어려워지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도 장기간 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며 “중동지역 불안이 길어지면 미국 달러화 강세와 위험회피로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상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오전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9.64포인트(0.98%) 내린 2992.20원에 개장했고, 원·달러 환율은 9.4원 오른 1375원에 거래를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