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대행은 2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기각 선고에 즉각 직무에 복귀, 대국민담화를 통해 “극단으로 갈라진 사회는 불행으로 치달을 뿐 누구의 꿈도 이루지 못한다”고 국민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 대행은 “제가 50년 가까이 모신 우리 국민 대다수는 나라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걸 원치 않았다. 다만 위로, 앞으로 올라가고 나아가길 원했다”며 “지금의 위기 국면을 해치고 다시 한번 위와 앞을 향해 도약할 수 있게 여야의 초당적 협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 대행의 ‘국민통합’ 당부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단 위기의식에서 나왔다. 실제로 일각에선 서울서부지법 폭동과 같은 사고가 재발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헌법재판관들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주요인사들에 대한 테러 위협도 이어지고 있다. 한 대행은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 선고 이후 ‘승복’ 없이 국민 갈등이 더욱 심화하리란 우려를 하고 있는 걸로 해석된다.
대미외교통이자 통상전문가인 한 대행은 대국민담화에서 “이미 현실로 닥쳐온 통상전쟁에서 우리나라의 국익을 확보하는 데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했다.
다만 한덕수 체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될진 불투명하다. 한 대행은 야당에 협치를 요청했지만 한 대행과 야당 사이엔 여전히 가시밭길이 놓여있다.
특히 한 대행 탄핵의 결정적 계기가 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불임명을 두고, 야당은 벌써부터 마 후보자 임명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날 헌법재판관 다수가 한 대행이 마 후보자 임명을 보류한 건 파면에 이를 정도로 중대하진 않지만 헌법에 위배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반면 한 대행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전까지 마 후보자 임명을 보류할 가능성이 높다. 한 대행은 이날 출근길 마 후보자 임명에 관한 질문을 받았지만 대답을 피했다.
마 후보자 불임명을 이유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까지 추진하는 야당이 표결까지 강행한다면 한 대행과 야당 관계에 또 다른 뇌관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