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자에겐 병원 이동에 들어가는 시간도 비용이다. 금전적 비용뿐만 아니라, 입원이나 외래 진료 때문에 다른 일용직 노동자를 대체 고용하는 것도 모두 비용이 든다. 가족이나 지인이 무급 간병으로 도와줬지만 이 또한 나중에 어떠한 형태로든 돌려주거나 이들이 희생해야 하기에 비용으로 포함된다.
상병수당 등 치료소득 보장 제도가 없어 미래가 불안하다는 답변도 많았다. 유급 병가와 상병수당이 없어 일하지 않고 회복하기엔 소득 손실이 너무 크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한 응답자는 “퇴원 후 장기적으로 2년 정도는 치료해야 한다고 생각하니까, 사업 정리를 고민하고 있다”면서 “만약 소득 보전이 된다면 좀 더 버틸 수 있었을 것”이라고 호소했다.
결핵으로 인한 비의료적 비용 부담이 클수록 중도에 결핵 치료를 포기하는 결과를 낳는다. 질병관리청이 지난달 발표한 ‘2024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에 의하면 의료급여 환자의 재치료자 비율이 건강보험 환자보다 약 4.78% 높았다. 재치료자는 약제 내성이 생길 수 있어 치료가 더욱 힘들어지고 또다시 중도 치료 포기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구진은 결핵 민감형(TB-sensitive) 사회보호 제도로서 유급 병가와 상병 수당 제도, 결핵 특화형(TB-specific) 사회보호 사업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홍조 교수는 “가장 낮은 소득 구간의 참여자들 5명 중 4명이 재난적 비용을 경험하고 있다”면서 “기존의 결핵 특화형 사회보호 사업이 대부분의 취약 결핵 환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지 못한다는 점이 이번 연구에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령화가 심화한다면 결핵으로 인한 재난적 비용의 규모는 빈곤 노령층으로 인해 더 증가할 수 있다”면서 “유급 병가와 상병수당 제도 제도와 같은 일반적 사회보장 정책의 확대가 근본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