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반위는 올해 △동반성장 평가 개편 및 이슈 업종 확대 △자율갈등조정 기능 강화를 통한 갈등 대응 △공급망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역량 지원 확대 및 ESG 정책 구심점 역할 수행 △지역·중소·소상공인 동반성장 기업 생태계 기반 확충 △민간 주도 동반성장 문화 공진화 촉진을 전략과제로 세우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동반위는 새로운 상생협력 문화 확산을 위해 ‘동반성장 2.0’ 시대를 열겠다고 의지를 다져왔다. 특히 동반성장지수 개편, 플랫폼·금융권·지역 중심의 동반성장 확대 등으로 동반위 역할 및 위상을 강화할 계획이다.
외부 전문기관을 통한 용역 및 공청회 등을 진행하고 △평가방식 △업종분석 △지표개편 등 기업의 자발적 평가 참여와 실질적 동반성장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편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날 동반위는 두부 제조업을 생계형 적합업종에 추천키로 의결했다. 추천 이후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여부를 정할 예정이다.
이달곤 동반위 위원장은 “산업구조 및 경제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민간 주도의 동반성장 문화확산과 지역 중심의 동반성장 활성화를 위해 동반위 운영체계를 재정립하겠다”며 “대·중소기업 간 관계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동반성장 방향 설정을 위한 동반성장 2.0을 연내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