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통신은 25일(현지시간) 독일 소매업계가 조직범죄 및 상습절도 급증으로 사상 최대 규모의 재고 손실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쾰른 소재 EHI소매연구소가 독일에서 1만 7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는 98개 소매업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 한 해 동안 도난 등으로 사라진 재고 가치가 무려 49억 5000만유로(약 7조 84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대비 3% 증가한 금액으로,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고치다. 재고 손실 및 보안 강화에 따른 비용 증가로 매장 내 제품 가격은 1.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독일 소매업계 전체 매출은 연간 약 6300억유로(약 998조 2000억원) 규모다.
물가 상승과 생활고, 인력 부족이 절도 증가 원인으로 꼽혔다. 일부 소비자가 생필품 가격 인상을 감당하지 못해 절도에 나서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 저자인 프랭크 호스트는 “사람들이 단순히 특정 품목을 더 이상 구매할 여유가 없는 것인지, 아니면 그렇게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는 것에 대한 일종의 저항인지는 확실히 말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력난으로 매장 내 직원 수가 줄면서, 감시의 눈이 약화한 것도 범죄 증가에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독일 소매업 부문 종사자 수는 감소하는 추세다. 2023년 추정치는 약 310만~320만명인데, 현재는 300만명까지 줄었다. 또한 약 12만개의 일자리가 공석인 것으로 파악된다. 인력이 부족해지면서 셀프 계산대 시스템도 빠르게 확산했다.
경찰에 신고된 공식 절도 건수는 2023년 이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고 평가를 통한 절도 규모와 비교해보면 전체 절도의 98%가 신고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다수 절도 사건이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보안 강화가 곧바로 매출 증대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상품을 잠그거나 진열을 제한하면 소비자 불편과 온라인 쇼핑 이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도난 방지를 위한 조치가 매출에 부담을 주는 딜레마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독일소매협회(HDE)는 “조직화된 절도범죄가 소매업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법 집행과 처벌 강화가 시급하다”며 강력한 처벌과 국가 차원의 대응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