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9월 말까지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2025 폭염종합대책’을 가동한다고 17일 밝혔다.
|
시는 우선 ‘쿨링시티(Cooling City) 서울’ 조성을 위해 도심 온도를 직접 낮추는 물 청소차 운영을 강화한다. 주요 간선도로와 일반도로 총 1973㎞ 구간에 물청소차 187대를 투입해 최고기온 시간대(오전 10~오후 3시) 일 1~2회 물청소를 한다.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도로사업소 차량 12대를 추가 투입하고 물청소 구간도 181.4㎞ 확대한다.
경로당, 주민센터 등 77곳에는 건물 옥상에 ‘쿨루프(옥상 태양광 반사 도료 시공)’를 설치해 온도를 낮추고 냉방에너지도 절감할 계획이다.
그늘막도 늘어난다. 횡단보도와 광장, 공원 등 시민 이동이 잦은 장소를 중심으로 그늘막 422개를 새롭게 설치한다.
물안개를 분사해 주변 온도를 낮추는 ‘쿨링포그’도 21개를 추가 설치한다.
신속한 대응을 위해 폭염 위기단계별 대응체계도 빈틈없이 가동한다.
‘관심’ 단계인 평시에는 상황관리TF팀이 위험 징후를 감시하고, ‘주의·경계·심각’ 등 폭염특보 발효 때는 시와 자치구에 폭염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하고 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온열질환자 응급실 감시기관도 64곳에서 70곳으로 확대 운영한다. 서울시 내 응급실 운영의료기관 70곳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를 접수하고, 온열질환 의심환자 현황을 관리한다.
|
아울러 어르신·쪽방주민·중증 장애인·야외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보호도 강화된다.
특히 어르신 돌봄 인원을 작년보다 1600여명 늘려 3만9343명으로 확대하고, 폭염특보 발령 시 생활지원사가 1~2일마다 전화·방문으로 안부를 확인한다.
쪽방 주민을 위한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10개조 20명이 1일 2회 순찰하고, 노약자나 기저질환자를 대상으로 주 2회 쪽방간호사가 방문해 건강을 살핀다.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2만7000명에게는 활동지원사·야간 돌보미를 통해 24시간 건강관리를 지원한다.
야외근로자에 대한 보호 대책도 강화된다. 공공·민간 건설 현장, 공공일자리 근로자 등 옥외작업자를 대상으로 폭염 단계별 휴식 시간 보장, 작업시간 조정·중단 등 보호조치가 적용된다.
이밖에 대표적 폭염대피시설인 무더위쉼터의 운영 내실화를 위해 관리 감독과 홍보를 강화한다.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대책 기간 중 5회 이상 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무더위쉼터의 위치, 운영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울안전누리’로 연결되는 QR코드(정보무늬) 스티커도 제작·배포한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폭염취약계층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시의 역량과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