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아시아 지역에는 빨라진 온난화로 인해 4월부터 11월까지 장기 폭염이 잇따랐다. 한국과 일본, 중국은 월평균 기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4월과 6월, 8월, 9월에 월 평균보다 높은 기온이 나타났는데, 지난해 9월에는 평년 평균기온보다 4.2도나 높았다.
잦은 폭염은 아시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이 시기에 해양열파의 영향 면적은 1993년 이후 가장 넓었다. 해양열파의 최근 10년간 평균 상승률(0.24도)은 전 지구 평균(0.13도)의 2배에 육박했다. 특히 북인도양과 일본 근해, 황해, 동중국해 등 우리나라 날씨에 영향을 많이 주는 해역의 해양열파 강도는 ‘심함’ 또는 ‘극심함’ 수준을 보였다. 황해와 동중국해는 해양열파의 발생 일수도 150일 이상으로 역대 최대였다.
이처럼 바다가 평소보다 달궈지고 겨울철 강설량이 줄면서 아시아 지역의 고산 빙하도 상당히 유실됐다. 히말라야 중부와 중국의 톈산 산맥에서는 빙하 24개 중 23개가 대규모로 유실됐다. 톈산 산맥 동쪽에 있는 우루무치 빙하 1호는 1959년 측정이 시작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에 대해 셀레스트 사울로 WMO 사무총장은 “극한 기상 현상은 이미 수용할 수 없을 만큼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기후위기에 직면한 사람들의 생명과 생계를 지키기 위해 국가 기상청과 그 파트너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WMO는 지난해 9월 네팔에서 일어난 대규모 홍수를 예로 들면서 최소 24시간 전에 제공된 조기 홍수 경보시스템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결정적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엔의 ‘모두를 위한 조기경보’(Early Warnings for All) 이니셔티브를 구현하는 일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모두를 위한 조기경보는 2022년 안토니우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이 2027년까지 전 세계 사람들이 조기경보 시스템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논의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