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현실 속에서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은 15일 공공SW 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 건의 법안을 대표 발의하며 기술 생태계 혁신의 서막을 열었다.
이날 이해민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국가계약법 일부개정안’과 ‘소프트웨어 진흥법 일부개정안’이다. 각각 SW 사업의 과업 변경 시 실제 계약금액 조정을 가능케 하고, 중소기업 보호를 위한 대기업 참여 제한 심의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
현행 법체계에서는 과심위가 과업 변경을 심의·의결해도 기획재정부의 예산 반영이 불가능한 구조여서 과심위 설치가 의무화된 2020년 이후에도 예산 조정 사례는 전무했다.
이로 인해 수많은 공공SW 프로젝트에서 품질 저하, 일정 지연, 시스템 장애, 소송 등 심각한 문제가 지속되어 왔으며, 이번 개정안은 이런 병폐에 대한 첫 제도적 응답이라 할 수 있다.
이해민 의원은 “AI는 SW 기술 위에 구축되는 체계이며, SW가 무너지면 AI도 함께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지금처럼 SW의 가치를 정당하게 평가하지 않는 불공정한 구조에서는 품질 있는 결과물이 나올 수 없고, 이는 곧 국가의 기술 경쟁력 저하로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이야말로 SW 생태계를 바로잡을 마지막 기회”라며 “이번 개정안은 SW 산업의 현실을 반영한 예산 구조 개혁으로, 업계의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 처방”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한국은 세계적으로도 SW R&D 투자 비중이 극히 낮은 국가로 지적받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 R&D 투자 상위 2000대 기업 중 한국 ICT 기업의 SW R&D 투자 비중은 1%에 불과한 반면, 하드웨어 투자 비중은 62.7%에 달했다. 미국(34.2%), 중국(17.4%), 일본(9.8%), 영국(5.4%) 등 주요국과 비교해도 현저히 뒤처지는 수치다.
그 결과 생성형 AI 시대에 접어든 지금 SW 기반이 약한 한국은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경쟁국을 따라잡기 어려운 구조적 취약점을 안고 있다.
산업계와 과학기술계에서도 SW를 단순한 업종이 아닌, 전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반 인프라로 인식하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로봇, 우주, 방산, 제조 등 모든 산업군에서 SW 기술이 핵심 경쟁요소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이해민 의원이 발의한 이번 ‘SW가치보장법’과 ‘중소기업 참여지원보장법’은 단순한 입법 절차를 넘어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술 생태계 기반을 새롭게 구축하려는 제도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