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사 기자와의 문답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주권존중과 내정 불간섭을 기본원칙으로 하는 유엔 헌장과 기타 국제법 규범들을 엄중히 위반하고 주권국가의 영토 완정과 안전 이익을 난폭하게 유린한 미국의 대(對)이란 공격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라고 밝혔다.
문답에서 대변인은 “국제평화와 안전의 근간을 통째로 뒤흔들고 있는 현 중동사태는 끊임없는 전쟁과 영토팽창으로 저들의 일방적 이익을 확대하여 온 이스라엘의 만용과 그를 용인하고 부추겨 온 서방식 자유질서가 낳은 필연적 산물”이라며 현재 중동 사태 악화의 원인을 이스라엘과 서방 국가의 탓으로 돌렸다.
이어 “이른바 ‘평화유지’와 ‘위협제거’의 구실 밑에 물리적 힘의 사용으로 중동지역의 정세 긴장을 더욱 격화시키고 전지구적인 안전 구도에 심각한 부정적 후과를 초래한 이스라엘과 미국의 행위는 심각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며 “정의로운 국제사회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대결적 행위에 대하여 일치한 규탄과 배격의 목소리를 높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반미(反美)’ 기조를 바탕으로 이란과 가깝게 지내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다. 북한과 이란은 오랜 기간 군사 및 미사일 기술을 협력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이란의 샤하브-3, 에마드, 시모르그 미사일 등은 북한의 화성-7형 노동 미사일 및 은하-3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란이 최근 이스라엘 공격에 사용한 탄도미사일에도 북한 기술이 적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북한은 미국을 규탄하면서도 이번 공격을 지휘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실명을 직접 거론하지 않는 등 수위 조절을 한 것으로 보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반응은 비교적 빠른 편이나 내용은 수위조절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나 트럼프 행정부를 직접 거명하지 않는 것은 수위조절과 함께 북미 대화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